•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말기의 문예그룹 南社와 南社同人의 문학활동 (The Literary Activities of Namsa and Its Memb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7.10
38P 미리보기
조선말기의 문예그룹 南社와 南社同人의 문학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시연구 / 25호 / 5 ~ 42페이지
    · 저자명 : 안대회

    초록

    이 논문은 南社라는 조선말기의 시사를 발굴하여 조명했다. 그동안 남사는 존재 자체가 알려지지 않은 시사인데 이 글을 통해 문학사와 지성사에서 주목해야 할 結社임을 밝혔다.
    남사는 1860년대 후반에 少論系 문인들이 서울의 남산 북쪽 회현동의 南村 지역을 거점으로 결성하였다. 결성을 주도한 문인은 洪岐周, 李重夏, 鄭基雨, 李建昌이다. 30여명으로 출발한 시사에는 姜瑋, 李建昇, 鄭範朝, 呂圭亨, 李南珪, 李琦, 金澤榮, 黃玹, 李根洙 등 조선말기 시문의 대가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시사는 30여년 이상 활발하게 활동하였고, 주요 동인이 사망한 광무 연간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동인은 親日과 反日로 분화되어 따로 시사활동을 하면서 한문학 창작과 연구를 주도하였다. 그 후예 중의 한 사람이 蔿堂 鄭寅普이다.
    활발한 시사활동을 보여주는 산물로 1873년에 春柳詩 창작을 엮은 『春柳詩帖』과 1878년의 『九九銷寒帖』의 편집을 꼽을 수 있다. 姜瑋가 편찬한 『韓四客詩選』과 정만조의 시화 『榕燈詩話』는 동인의 활동을 정리한 선집과 시화이고, 李琦가 편찬한 『朝野詩選』은 남사 동인 중심으로 조선말기 한시를 뽑은 선집이다. 연구를 통해 남사가 매우 중요한 시사임을 밝혀냈고, 다수의 동인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newly discovered Namsa (南社), a poetry society of the Late Joseon period. Until now, the very existence of Namsa has been mostly unknown. This paper argues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and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Namsa is an important group to study.
    Namsa was organized in the late 1860s by the literary figures belonging to the Soron faction, based in Namchon (southern village), now Hoehyeon-dong at the northern foot of Mt. Namsan. The four founders of the group were HONG Gi-ju (洪岐周) YI Jung-ha (李重夏) JEONG Gi-u (鄭基雨) and YI Geon-chang (李建昌). It started with thirty active members and was later joined by a large number of leading literati of the late Joseon period, including GANG Wi (姜瑋), YI Geon-seung (李建昇), JEONG Beom-jo (鄭範朝), YIO Gyu-hyeong (呂圭亨), YI Nam-gyu (李南珪), YI Gi (李琦), KIM Taek-yeong (金澤榮), HWANG Hyeon (黃玹) and YI Geun-su (李根洙).
    The group was active for more than thirty years and remained in existence even after the deaths of its key members during the Gwangmu era (1897-1907) of King Gojong. In the wake of the Eulmi Incident (1895) and the subsequent annexation of Korea by Imperial Japan in 1910, the group became divided into pro- and anti-Japanese members; they formed new poetry societies, each leading the creative and academic activities of their time in the field of Classical Chinese writings in Korea. The intellectual lineage of Widang JEONG In-bo (鄭寅普, 1893-1950) was rooted in the creative and academic activities of this historical group.


    Major works by the members of the group can be cited as Chullyu sicheop (春柳詩帖, A Collection of the Poetry on Spring Willows) and Gugu sohancheop (九九銷寒帖, A Collection of the Poetry on Thawing of the Winter ), compiled in 1873 and 1878 respectively. Other and later works include Hansagaek siseon (韓四客詩選, A Selection of Works by Four Korean Poets), an anthology of the poetry by Namsa members compiled by Gang Wi; Yongdeung sihwa (榕燈詩話, Critical Essays on Poetry Written in Exile under An Oil Lamp) by Jeong Man-jo, a collections of essays written around 1904; and Joya siseon (朝野詩選, A Selection of Joseon Poetry Works) a comprehensive anthology of mostly Late Joseon poetry works by some two hundred poets, compiled by one of the leading Namsa members, Yi Gi, from 1916 to 1919.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Namsa and underscores the need for further and in-depth research on the literary works of many of its memb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