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표충사 춘추제향을 통해 본 승려의 직책과 역할 - 밀양 표충사와 해남 표충사를 중심으로 (Ranking of monks and their roles in religious rites of Pyochoong shrines - focus on Miryang Pyochoongsa and Haenam Pyochoongsa shrin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6.12
28P 미리보기
표충사 춘추제향을 통해 본 승려의 직책과 역할 - 밀양 표충사와 해남 표충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77호 / 197 ~ 224페이지
    · 저자명 : 이철헌

    초록

    밀양 표충사(表忠祠)는 임진왜란때 의승장으로 활약한 사명당 유정을 주향(主享)으로 청허당 휴정과 기허당 영규를 배향(配享)하는 사당으로, 영조 14년(1738)에 사액을받아 유교식 제향절차에 따라 춘추로 향사를 지내왔다. 밀양 표충사가 유정을 주향으로스승인 휴정을 배향하자 해남 대둔사 승려들이 휴정을 주향으로 하는 사당의 건립과 사액을 요청해 정조 12년(1788)에 해남 표충사도 사액을 받아 밀양 표충사의 예에 따라 춘추제향을 지냈다.
    밀양 표충사에는 춘추제향과 관련하여 각종 공문서와 자료들이 일부 남아있으며, 해남 대흥사와 용흥사에도 표충사 향사와 관련한 자료들이 남아 있다. 이러한 자료는 불교사찰 내에 위치한 유교식 사당인 표충사의 춘추제향에 대한 역사와 설행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들이다.
    두 표충사의 제향은 유교 서원의 제향절차를 따랐으므로 일반 서원 제향과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제향의 대상이 승려고 사찰내에 표충사가 있어 어육(魚肉)을 사용하지 않았고, 술 대신에 차(茶)로 대신했다.
    표충사가 사액서원이고 유교식 제향을 지내는 곳이니 당연히 모든 집사와 집례를 유생들이 담당했을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은 유교식 제향을 지낼 뿐 모든 집사와 집례를 승려들이 맡았다.
    향사의 특별한 직위와 역할은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는 계기가 된다. 특히 유명한 서원의 경우 향사 참례 자체가 자랑거리가 되기도 한다. 한 서원 내에서 집사의 위계를 단계별로 올라서 보다 격이 높은 서원에 초대를 받고 집사의 직임을 수행하게 된다. 집사의 분정은 나이와 경륜을 고려하여 정하는데, 관작의 고하, 나이순 등 유교 이데올로기가 나타나고 이를 따른다.
    표충사의 중요한 직책은 원장, 도총섭(종정), 도유사, 주관유사, 도승통이 있었다. 원장은 서원의 우두머리며, 도총섭은 춘추향사를 총괄지휘하며, 도유사는 실질적으로 제향을 집행하며, 주관유사는 의식을 총괄하고 주관하며, 도승통은 향사를 원활히 치를수 있도록 승려들을 통솔했다.
    밀양 표충사의 경우는 ‘원장→주관유사→도총섭→도유사→도승통’의 위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해남 표충사의 경우는 ‘원장→도총섭→도유사→주관유사→도승통’의 위계를 가지고 있음이 다르다.

    영어초록

    Miryang Pyochoongsa is a shrine which set Samyeongdang Yujeong, who fought in Japanese invasion in 1592, as center and Cheongheodang Hyujeong and Giheodang Yeonggyu as side. In 1738 Pyochoongsa shrine was given its name by the king and practiced religious rite every spring and autumn. Since Miryang Pyochoongsa shrine set Yujeong as center and Hyujeong, Yujeong’s teacher, as side, monks in Haenam Daedoonsa requested a shrine which set Hyujeong as center. The shrine was given its name by the king in 1788 as Haenam Pyochoongsa. It performed religious rite according to Confucian procedure every spring and fall.
    Official documents and data about the religious service still remain in Miryang Pyochoongsa temple, Haenam Daeheungsa temple and Yongheungsa temple. These are important documents which reveals history and practice of religious rite in Pyochoongsa shrine, a Confucian shrine located in a Buddhist temple.
    Religious rite of the two Pyochoongsa shrines was almost identical with that of general Confucian shrines. However, as the subject of worship was a monk and the shrines were inside temples, no fish or meat were used and liquor was replaced by tea.
    As Pyochoongsa shrine was a Confucian shrine given its name by the king and the place for Confucian rite, it is easy to think that Confucian scholars practiced the rite. In fact, it was just a Confucian rite and monks took all the role in the rite.
    The special position and role in the rite can be a chance to display social status.
    Especially, when it was a famous Confucian academy, the participation itself became a source of pride. A deacon climbed the rank in one shrine, got invited to a higher shrine and practiced the service as a deacon. The role of a deacon was decided according to age, experience and office and peerage, which showed Confucian ideology.
    Important positions of Pyochoongsa shrine are a Chief, Dochongseob, Doyusa, Jugwanyusa, Doseungtong. Chief was a leader of a Confucian shrine, Dochongseob directed the religious rite, Doyusa substantially performed the rite, Jugwanyusa conducted the rite, Doseungtong commanded monks so that the rite can be held smoothly.
    In Miryang Pyochoongsa shrine, the rank was ‘Wonjang → Jugwanyusa → Dochongseob → Doyusa → Doseungtong’, whereas in Haenam Pyochoongsa shrine the rank was ‘Wonjang → Dochongseob → Doyusa → Jugwanyusa → Doseungt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