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제국기(大韓帝國期) 사궤장조서(賜几杖詔書)의 특징과 문서사적(文書史的) 의의 - 조병세(趙秉世, 1827∼1905)의 사궤장조서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Imperial Edict for Granting Cane and Chair (Sa Gwejang)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 Focusing on the Sa Gwejang Edict of Jo Byeong-se (1827-1905)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5.04
24P 미리보기
대한제국기(大韓帝國期) 사궤장조서(賜几杖詔書)의 특징과 문서사적(文書史的) 의의 -  조병세(趙秉世, 1827∼1905)의 사궤장조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66권 / 237 ~ 260페이지
    · 저자명 : 박철민

    초록

    이 글에서는 1902년 조병세가 궤장을 하사받을 때 발급된 조서(詔書)의 특징, 문서사적(文書史的) 의의를살펴보았다. 조병세가 받은 사궤장조서(賜几杖詔書)는 대한제국기 단 1번 발급된 3점의 문서 중 하나로, 대한제국의 가장 권위있는 문서 양식인 조서로 발급되었다. 대한제국의 사궤장 의례는 업무 분장 및 의식 절차를분석하였을 때 황제국으로 체제가 변화하며 생긴 차이를 배제하면 조선시대와 같으며, 사궤장조서 또한 사궤장교서와 양식적 특징, 문자의 사용 방식 등이 모두 일치함이 확인된다. 해당 문서는 조선시대의 전통을이어받은 대한제국기 문서 중 하나로 한국 문서의 역사적 측면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Imperial Edict issued in 1902 when Jo Byeong-se was granted a Sa Gwejang(賜几杖, a traditional Eastern system in which a cane and chair are bestowed to high-ranking officials over the age of 70 who have rendered distinguished service to the state when they request retirement, as a gesture to dissuade them from stepping down). The Sa Gwejang Edict received by Jo Byeong-se is one of only three such documents issued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was delivered in the most authoritative format of the empire’s official documents, the Joseo(詔書). When analzying the division of responsibilities and ceremonial procedures, the Sa Gwejang ritual of the Korean Empire mirros that of the Joseon Dynasty, with the only differences arising from the shift to an imperial system.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the Sa Gwejang Joseo matches the Sa Gwejang Gyoseo(敎書, The most authoritative form of document bestowed by the k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its formal characteristics and the use of characters. This document, as a continuation of the traditions from the Joseon Dynasty, holds significant importance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official docu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