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양 원각사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조각승 성수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and Monk Sculpture Seongsu of Wongaksa Temple in Goyang)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1.03
20P 미리보기
고양 원각사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조각승 성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79호 / 277 ~ 296페이지
    · 저자명 : 최선일

    초록

    본 논문은 고양 원각사에 소장된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제작한 성수(性修, 性守) 비구에 관한 연구이다. 이 보살상은 2018년 5월에 사찰의 의뢰를 받아 수종(樹種)과 연륜연대(年輪年代) 등을 조사하던 중에 바닥 면에 적힌 조성묵서가 확인되어 조선후기 지장보살상 연구에 기준 작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목조지장보살좌상은 높이 45㎝의 중소형으로, 민머리의 성문비구형(聲聞比丘形)이다. 지장보살은 상체를 앞으로 약간 내밀고, 불신(佛身)과 따로 제작된 양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을 취하고 있다. 보살은 전신에서 얼굴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편이지만, 머리에 비해 어깨가 좁아 다부진 느낌을 주고, 무릎 높이가 낮고 폭이 넓어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대의는 목 뒷부분이 약간 접혀 있고, 양 어깨에는 대의를 걸친 조선후기 전형적인 착의법이다. 다만 오른쪽 어깨에서 내려온 대의자락이 목에서 허리로 반원을 그리며 흘러내리지 않은 점은 특이하다. 그리고 한 벌의 대의를 더 걸쳐 보살상 뒤쪽에 왼쪽 어깨에 앞에서 넘어온 대의자락이 엉덩이까지 길게 흘러내리고, 그 안쪽에 왼쪽 어깨부터 오른쪽 허리까지 대의자락이 대각선으로 늘어져 있다조성묵서(造成墨書)에 의하면, 순치(順治) 7년인 1650년에 화주(化主) 덕인(德忍)이 발원하여 조각승[畵員] 성수와 경성(敬聖, 敬性)이 제작하였다. 또한 이들은 1650년 6월에 화주 덕인이 발원한 무주 관음사 목조관음보살좌상(전북 유형문화재 216호)을 무염과 같이 제작하였다. 따라서 원각사와 관음사 목조보살좌상은 화주와 작가가 동일하여 아미타삼존상으로 제작되었다가 이후 다른 사찰로 이운했을 가능성이 있다. 성수의 조각승 계보는 각민(-1605-1614-)→행사(-1606- 1648-)→무염(-1633-1656-)→해심(-1633-1654-), 성수(-1633-1674-)→경성(-1648- 1684-)으로 계승되었다. 또한 성수와 해심은 활동 시기와 집단 내 위상 등을 고려하면 사제지간이 아닌 선후배로 보인다. 조각승 성수가 목조지장보살좌상을 봉안한 사찰에 관한 단서는 남아있지 않지만, 전북 고창과 완주, 전남 영광, 충남 논산 등에서 활동한 것을 보면 현전하는 보살상 2구도 호남의 북부 지역 사찰에서 조성했을 가능성이 높다.
    조각승 성수는 1600년 전후에 태어나 1610년대 후반에서 1620년대까지 불상 제작에 보조화승으로 참여하고, 1630년대 전반 조각승 무염이 만든 불상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최소한 1640년대 중반쯤에 수화승으로 불상을 조성했을 것이다. 성수는 1650년에 원각사 목조지장보살좌상과 무주 관음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제작에 수화승으로 참여하고, 1653년 고창 문수사 대웅전과 명부전 불상을 수화승 해심과 같이 제작하였다.
    조각승 성수가 만든 불상의 인상이나 착의법 등이 유사한 불상은 제주 본태박물관 목조여래좌상, 보령 중대암 목조보살좌상, 부여 정각사 목조보살좌상 등으로, 이들 불상은 1650년대 무염의 계보에 속한 조각승이 만들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n Monk Seongsu(性修), which produced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housed in Wongaksa Temple in Goyang. While identifying the species and dating the woods of the Bodhisattva at the request of the temple in May 2018, a manuscript written on the floor was identified and was used as a standard work for the study of the Ksitigarbha Bodhisattva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is a 45cm-tall, small and medium-sized statue with a bald head. The Bodhisattva's upper body is slightly extended forward, and the two hands, which are made separately from the body, are placed against the thumb and the middle finger. The face of Bodhisattva has a large proportion of the entire body. But compared to the head, the shoulders are narrow, giving a determined feeling, and the height of the knees are low and wide, making them in a stable posture. The skirt are slightly folded at the back of the neck, and the skirt of both shoulders are typical of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it is unusual that the skirt from the right shoulder did not flow down in a half circle from the neck to the waist. And one more skirt flows from the back of the bodhisattva's left shoulder to the hips, and inside it, the skirt stretches diagonally from the left shoulder to the right waist.
    According to the manuscript, this Bodhisattva statue was commissioned by the Hwaju(化主) Deokin in 1650 and produced by the sculptor Seongsu and Gyeongseong(敬聖, 敬性). In addition, they produced the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Muju Gwaneumsa Temple (Jeonbuk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216), which was offered by the Hwaju(化主) Deokin(德忍) in June 1650 along with Monk Sculptor Muyeom(無染). Therefore, the Wooden Ksitigarbha Bodhisattva of Wongaksa Temple and the Wooden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Gwaneumsa Temple may have been produced as Amitabha Triad because the Hwaju and the Sculptor were the same, but later transferred to another temple. Seongsu's Sculpture Genealogy was succeeded by Gakmin(-1605-1614-)→ Heangsa (-1606- 1648-)→Muyeom(-1633-1656-)→Heasim(-1633-1654-), Seongsu(-1633-1674-) →Gyeongseong(-1648-1684-). Also, considering the timing of the activities and the status of the group, Seongsu and Haesim seem to be seniors and juniors, not teacher-student relations. Although there are no clues about the temple where the Monk Sculptor Seongsu enshrined the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two existing Bodhisattvas were also created at temples in northern Honam, as they were active in Gochang and Wanju of Cheonbuk province, Yeonggwang of Cheonnam province and Nonsan of Chungnam.
    Seongsu, a Monk Sculptor, was born around 1600 years ago and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Buddha statue from the late 1610s to the 1620s, and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statue created by a Monk Sculptor Muyeom in the early 1630s, creating the statue as a leading sculptor at least around the mid-1640s. In 1650, he participated as a leading sculptor in the production of the Wooden Bodhisattva Statue of Wongaksa Temple and the Wooden Bodhisattva Statue of Muju Gwaneumsa Temple. In 1653, he produced the Daeungjeon Hall of Gochang Munsusa and Myeongbujeon Buddha statue with the monk Haesim.
    Similar statues of Buddha made by a Monk sculptor Seongsu are the wooden Buddha statue of the Jeju Bontea Museum, the wooden Bodhisattva statue of Daejongam in Boryeong, and the wooden Bodhisattva of Jeonggaksa Temple. Therefore these Buddha sculptures are believed to have been made by sculptors belonging to the genealogy of Muyeom in the 165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