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전시가에 나타난 ‘바다’의 한 인식과 그 의미 - 「청산별곡」과 「어부사시사」를 중심으로 - (The recognition and meaning of the “sea” in Korean classical poetry : Focusing on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and “Eobusasisa(漁父四時詞)”)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8.02
18P 미리보기
고전시가에 나타난 ‘바다’의 한 인식과 그 의미 - 「청산별곡」과 「어부사시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人文科學硏究 / 37권 / 21 ~ 38페이지
    · 저자명 : 이정선

    초록

    본고는 고려가요인 「청산별곡」과 조선조 중기 문인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두 작품을 중심으로 바다에 대한 한 인식과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우리 민족에게 바다는 삶의 현장이며 실제 그 자체였다. 그런데 작품 속에서 그려지는 바다는 옛사람들에게 그리움과 희망의 공간이거나, 피세(避世)의 공간으로, 또는 경계(境界)의 성격을 띠면서 문화의 분리를 야기하거나, 미지의 세계를 연결해주는 통로이되 두려움의 공간으로 이해되었다.
    「청산별곡」에 등장하는 바다는 (1)연에 등장하는 청산과 같은 공간이다. (5)연에서의 표현처럼 아무런 이유도 없이 당해야만 하는 현실에 대한 억울함에서 비롯된 화자의 정신적 유랑은 (1)연에서 청산에서의 삶을 동경하고, (6)연에서 바다로의 삶을 소망한다. 이는 과거에 청산에서 살지 않고, 바다에서 살지 못했기 때문에 일어나게 된 것이라는 자각에서 비롯한다. 그러나 청산과 바다로의 꿈이 화자 자신에게는 오히려 자신의 현재에 놓인 힘겨운 처지만을 부각시켜준다. 특히 「청산별곡」에서 화자가 지향하는 바다는 과거에 살아보지 못했던 아쉬움의 공간이지만 청산보다 현실의 자각을 강하게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고산은 현세를 피해 바다라는 자연을 찾아갔다. 따라서 「어부사시사」에는 현실에 대한 혐오와 대조적으로 자연에 대해서는 절대 긍정의 모습을 보여준다. 고산은 「어부사시사」를 제작 당시나 그 전후에도 서찰(書札) 등을 통해 그토록 혐오하는 현실 정치에 대해 관심을 피력하며 경세제민(經世濟民)의 방도를 역설한다. 이를 통해 본다면 그의 자연(바다)으로의 여정은 자신을 알아주지 못한 현실에 대한 반감이면서 동시에 현세에 나가기 위한 임시적인 방편에 불과하다. 이는 「청산별곡」의 화자가 현세의 고통이 지난날 바다를 가지 못해서 생긴 일임을 후회한 것과는 극명하게 다르다.

    영어초록

    This text focuses on two works of poetry: “Cheongsanbyeolgok” and “Eobusasisa”, in order to depict the recognition and meaning of the sea. The sea is a site and reality of life for Koreans. However, these works demonstrated a place of hope or desire, a place of escape or boundary in their lives enabling them to isolate themselves from cultures and connect to the unknown world. The poetry also depicts the sea as a place of fear.
    The sea, which is mentioned in the first stanza of “Cheongsanbyeolgok”, indicated the green mountain in reality. In the fifth stanza, the poet was living in a world filled with many allegations against him; his state of depression was such that he was yearning to live on the green mountain mentioned in the first stanza. Nevertheless, in the sixth stanza, he was yearning to live near the sea as well. The reason why the author wished to live on the green mountain or near the sea is that he had not lived there before. However, the desire to go to the sea and the green mountain merely emphasized the difficulty he faced in his present life. In “Cheongsanbyeolgok”, the poet regrets never having lived near the sea and also shows us his realization of living in reality.
    Yun Seon-do, the poet of “Eobusasisa”, visited the sea because he wanted to escape from his real life. Thus, in “Eobusasisa”, the poet expressed himself positively about nature; on the other hand, he criticized reality. In this regard, “Eobusasisa” is very similar to the poetry of another scholar in which reality was criticized and the desire to live in nature emphasized. Besides, the poet of “Eobusasisa” also cares about political issues relating to the nation. As a result, the poet visited the sea for a while to show us his disgust with reality that does not recognize him and to show that he wanted to make his own way. On the contrary, “Cheongsanbyeolgok” shows us that the poet is regretting that he did not go to the s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人文科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