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방언 ‘오분자기’의 어휘사 (Study on Lexical History of 'Obunjag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6.11
31P 미리보기
제주방언 ‘오분자기’의 어휘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문학 / 63권 / 63호 / 39 ~ 69페이지
    · 저자명 : 배영환

    초록

    이 논문은 제주방언에 나타나는 ‘오분자기’를 조어론적으로1)분석해 보고이들의 어원을 분석해 본 것이다. 또, 오분자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복’ 과 ‘떡조개’, 그리고 ‘조고지’ 등과 의미 관계를 살펴보았다. 학문적인 분류상으로 ‘오분자기’는 ‘전복’과 상하 관계를 이루고 있지만, 제주방언 화자들은이 두 단어를 서로 다른 어휘로 이해한다. 즉, ‘오분자기’와 전복은 지시 영역이 다른 대등어로 인식하고 있다. 또, ‘오분자기’는 ‘떡조개’, ‘조고지’ 등과방언의 차이에 따른 동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오분자기’는기원적으로 단일어라기보다는 복합어로 볼 수 있고, 단어 형성상 ‘오분’과‘자기’로 분석할 수 있다. ‘오분’은 두 가지의 가능성이 있다. 먼저 ‘오분’을표준어 ‘떡조개’와 관련시켜 ‘떡-’과 관련된 의미로 볼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떡-’은 ‘크다’와 ‘작다’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오분자기’의 ‘오분’과는 잘 부합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 ‘오분’은 동북방언에서 확인되는 ‘오-’[全] 에 관형형 어미 ‘-ㄴ’이 결합된 형태로 볼 수 있다. ‘자기’는 중세국어에 나타나는 ‘쟈개’[貝]의 변화형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오분자기’는 ‘전복’의 다른이름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오분자기’는 ‘오분자귀, 오분재기, 고망바르, 떡조갱이’ 등 다양한 방언형이 존재한다. 이 중 ‘오분’류는 제주도 전 지역에서확인되고, ‘고망’계는 서귀포 일부 지역, 그리고 ‘떡조갱이’는 제주시 일부 지역에서 나타난다. 이 밖에 ‘오분자기’의 사전적 기술에서 뜻풀이를 ‘작은 전복’으로 설명한 것은 문제가 있다. ‘오분자기’는 ‘전복’과 종이 다르기 때문에‘작은 전복’으로 설명했을 경우, ‘어린 전복’으로 오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분자기’는 제주도 방언에서는 다른 어휘와 형태적인 유연성이 확인되지않는 일종의 고립어인데, 이것은 다른 지역어의 차용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aimed at studying the term 'Obunjagi' that appears in Jeju dialect in verbal neologism and analyzing the origin of thereof. Also, this research reviewed the historical change in form of the word 'abalone', a food similar to 'Obunjagi'. In Jeju dialect, there's a different point in respect that 'Obunjagi' has a similar shape as 'abalone', however the size of it is smaller than an abalone. 'Obunjagi' can be divided into 'Obun' and 'Jagi,' in terms of forming the word. The part 'Obun' has two possibilities. Firstly, 'Obun' can be said to be the form combined with '오-'[全], that is found in the northeast dialect and modifier ending '-ㄴ'. On the other hand, 'Obun' can be the meaning related to 'Tteok-', by associating with the standard language 'Tteokjogae'. 'Tteok-' had two meanings, 'big' and 'small', which does not accord with 'Obun' of 'Obunjagi' well. 'Jagi' is presumed to be a change type of 'Jagye'[貝] taken from Korean during the Middle Ages.
    Accordingly, 'Obunjagi' is presumed as another name of 'abalone'.
    Therefore, the words that belonged to 'abalone' are presumed to have had the native words affiliation such as 'be/bit' system and 'Obunjagi' system. On the other hand, 'Obunjagi' has various dialects such as 'Obunjagwi, Obunjaegi, Gomangbareu, Tteokjogaeng-i'. Among them, 'Obun' type is found in the whole area of Jeju, while 'Gomang' in some area of Seogwipo, and 'Tteokjogaeng-i' in some parts of Jeju. Besides, 제주방언 ‘오분자기’의 어휘사 69 there's a problem that dictionary description of 'Obunjagi' was explained as 'a small abalone'. 'Obunjagi' is different from abalone, accordingly, when it is explained as 'a small abalone', it could be misunderstood as 'a young abalone'. 'Obunjagi' is a kind of an isolated language that is not confirmed with morphological flexibility with other vocabulary in Jeju dialect,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orrowing of another regional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