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고전텍스트와 추리서사 (Japanese Classical Texts and Detective Narrativ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3.05
24P 미리보기
일본 고전텍스트와 추리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85권 / 2호 / 131 ~ 154페이지
    · 저자명 : 이미숙

    초록

    本稿は日本古典テキストに形象化された推理技法に注目し、日本ならではの内的な伝統を持つ推理叙事の様相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推理叙事の代表的な様式である推理小説は十九世紀前半欧米から始まり、日本と韓国のような東アジアにおいては二十世紀前後発達し始めたと知られている。とはいうものの、推理叙事とは、事件や犠牲者、犯人、その謎を解くために奔走する解決者、またミステリーの真相を推理しつつ謎解きに参加する読者が存在する叙事文学であると規定できるため、その淵源は近代以前に遡ることができる。日本古典テキストには近代以後の本格的な推理叙事には及ばないものの、謎とその解決の提示という推理技法が用いられたテキストが数多く存在する。謎解きのモチーフを持つ説話を始め、物語文学、江戸時代の「比事物」もミステリーを解決していくという共通的な構造を持っている。本稿では、その具体的な様相を『源氏物語』夕顔物語を起点として、『古事記』の三輪山神話、『今昔物語集』巻第二十九に収められている三つの話、江戸時代の裁判物である井原西鶴の『本朝桜陰比事』に用いられた推理技法に注目し考察した。考察の結果、日本の推理叙事は日本ならではの叙事伝統の中でつながれてきたと言えよう。謎、すなわちミステリーへの探求は未知のものに対する好奇心が人間の本源的な欲求であるだけに、神話、伝説、説話など口伝文学から記載文学にいたるまでミステリーは叙事文学のプロットには欠かせない要素である。それだけに、謎解きという推理技法は日本における古典叙事の伝統の中においても当然用いられていたのである。さらに、このようなことは中国と韓国など東アジアの叙事伝統においても同じく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中国の公安小説やそれと緊密な関わりを持つ朝鮮時代の訟事小説にも注目してみたとき、東アジアにおける推理叙事の内的な伝統にまでその観点を拡大していくことができると思われる。

    영어초록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wide-meaning mystery techniques having been drawn on Japanese classical texts, and looked into aspects of the detective narrative that had inherent tradition of East Asia itself separately from that of the West. Detective stories having representative forms of the detective narrative started from the West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was known as being developed in the oriental region such as Japan and Korea before and after the 20th century. However, the detective narrative consists of incident, victim, and criminals, and detective services that are busy going here and there to solve the riddle is existed, and it can be also defined as stories having narrative structures in which readers participate in the riddle-solving while figuring out the truth of mystery, so its origin could be gone back to pre-modern times. Also, when thinking about detective narratives of East Asia including Korea and Japan etc., intrinsic motives have not to be overlooked. The riddle, that is research on mysteries derive from curiosities on unknown things as human’s fundamental desires, so it is corresponded to elements that cannot be omitted in the plot of narrative literature from oral literature of the East and West to substrate literature such as myths, legend, and tales. Thus, mystery techniques called riddle-solving have been used in classical narrative traditions of East Asia including China, Korea, and Japan etc., naturally, and the origin of detective narratives can be confirmed in narrative traditions in the East apart from western influences. The study took notice of mystery techniques shown at Yugao story of『Genji Monogatari』, Miwayama myth listed in『Kojiki』, a tale using mystery techniques and written down to No. 29 of『Konzyakumonogatarisyu』,『Honchououinhiji』by Ihara Saikaku that was a judgment-related book in Edo period.
    Through this consideration,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a fact that Japanese detective narrative literature after modern times have been developed by regarding detective narrative traditions of oriental ancients as intrinsic motives, not to mention of western influences. In addition, when closely watching Korean classical texts to which mystery techniques were introduced, its viewpoints could be expanded to inherent traditions of detective narratives in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