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사 텍스트를 통해서 본 ‘융합(통섭)’의 가능성으로서의 비판적 문화연구에 대한 시론 - 『말죽거리 잔혹사』를 중심으로 - (Discussion of a critical cultural study with capacity of ‘amalgamation(convergence)’ through description text – with 말죽거리잔혹사:The Spirit of Jeet Keun Do - Once upon a Time in High School -)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1.08
41P 미리보기
서사 텍스트를 통해서 본 ‘융합(통섭)’의 가능성으로서의 비판적 문화연구에 대한 시론 - 『말죽거리 잔혹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35호 / 97 ~ 137페이지
    · 저자명 : 이은애

    초록

    본고는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를 중심으로, 서사 텍스트가 어떻게 학문의 ‘융합(통섭)’의 가능성으로서 비판적 문화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를 점검해 본 논문이다.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시대에 즉면 하여, 인류는 다양한 변화를 겪고 있다. 그 중에서도 두드러진 변화의 특징은 ‘매체’의 변모 양상이다. 기존에 왕좌의 위치를 확보하며 인류의 문화에 기여한 ‘문자매체’가 ‘영상매체’에게 그 권위를 내어주기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이행의 움직임은 ‘인문학의 위기’를 가져 왔고, 이러한 현상은 때마침 불어 닥친 “대학 개혁”이라는 사건과 병행하여 더욱 가속화되기에 이르렀다.
    이제는 모든 학문이 ‘분과학문’의 성격을 탈피하여 새로운 변화의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으며, 심각한 위기에 봉착한 인문학의 경우에는 사정이 더욱 급박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의해 제기된 것이 학문의 ‘통섭(융합)’이다. 서구에서는 이미 상당히 오래전부터 논의되고 실천되어 오던 문제였으나, 분과 학문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는 우리에게는 오늘날에 이르러서야 문제 제기된 다소 ‘낯선’ 개념들이라 할 수 있다. 사실, 엄밀한 의미에서의 ‘통섭’은 ‘융합’과는 좀 다른 차원의 문제이지만, 본격적이고도 보편적으로 이러한 문제가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우리에게는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그것은 ‘간 분과 성 학문’이나 ‘학제 간 연구’의 성격을 띠며 진행되고 있다.
    그럼 실제, 인문학의 분과 학문 중의 하나인 문학에서 어떻게 바람직한 ‘융합’을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인가? 본 논문은 그 가능성 및 대안으로서 ‘비판적 문화 연구’를 제안한다. 그것은 신 자유주의적 지식 생산에 대한 일종의 ‘저항’의 의미를 확보하며, 사회과학, 나아가 자연 현상을 새롭게 이해하고 해석하는 자연과학적 방법을 인문학과 접목시켜 새로운 지식 생산을 꾀하고 있다고 보여 지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는 ‘융합’의 가능성으로서 비판적 문화 연구에 대한 시론을 펼칠 수 있는 유효하고도 적절한 텍스트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이 영화는 ‘문화의 시대’라고 명명되는 오늘날, 한국적 상황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음과 같은 첨예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말죽거리 잔혹사』는 오늘날 우리가 안고 있는 문제적 상황인 1)권력의 문제(‘남자’라는 가부장적 권력, 학교 권력 등) 2)강남, 강북의 지역 문화의 문제 3)문화를 통한 계층의 ‘구별짓기’의 문제 4)욕망의 문제를 담지하고 있는 전형적인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담고 있는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 를, 담론 분석, 정신분석, 사회학 이론 이라는 연구 방법론을 통하여, 학문의 융합의 가능성으로서의 비판적 문화연구의 입장에서 분석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critical cultural analysis of the amalgamation through movie text description <말죽거리잔혹사:The Spirit of Jeet Keun Do - Once upon a Time in High School>There have been a large number of changes within society since experiencing the ‘globalization of neo-liberalism’. The most impressive change would be how ‘Media’ has moved away from text media, and instead is being influenced more dominantly by visual media. This movement has caused a ‘humanities crisis’, with all studies being changed from separate to amalgamated studies.
    So how do we make a desirable amalgam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a ‘critical cultural study’, as it contains resistance to neo-liberalization, attempts to create a new understanding of social science, therefore creating an improved connection between the study of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말죽거리잔혹사:The Spirit of Jeet Keun Do - Once upon a Time in High School> is a good example to use as a platform to debate about a critical cultural study. Furthermore, this movi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cultural situations. <말죽거리잔혹사:The Spirit of Jeet Keun Do - Once upon a Time in High School> shows some controversial issues, 1) Issue of power (‘Man’s” patriarchal power, power in school society, etc) 2) Cultural difference between Kangnam and Kangbuk (areas of Seoul) 3) Division of levels by culture 4) Issue of desiring.
    This study debates this movie with a discussion analysis, psychoanalysis and theory of social science. And also attempts to analyze if there are any possibilities about amalgamation among studies in critical cultural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