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군사(君師)의 관점으로 보는 정조(正祖)의 대학(大學) 해석의 이해 ― 경사강의⋅대학(經史講義⋅大學)을 중심으로 ― (Examining King Jeongjo's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大學) From the Perspective of Gunsa(君師) - Focusing on “Gyeongsa-Gangui⋅The Great Learning (經史講義⋅大學))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4.11
23P 미리보기
군사(君師)의 관점으로 보는 정조(正祖)의 대학(大學) 해석의 이해 ― 경사강의⋅대학(經史講義⋅大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문화연구 / 41호 / 123 ~ 145페이지
    · 저자명 : 최희령

    초록

    정조(正祖)의 경학에 대한 이해는 조선 후기 경학사상(經學思想)의 연구의 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정조의 경학(經學)은 경전(經傳)을 바탕으로 주자학적 학문을 계승하였다는 평가가 기존 연구의 공통점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정조의 사상을 세부적으로 고찰하기 위해서는 경사강의⋅대학(經史講義⋅大學)의 논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조는 정치와 학문을 결합한 이상적 군주상인 ‘군사(君師)’를 자임하였고, 이를 통해 정치․학문적 변화와 성과를 이루어내었다. 조선의 국왕이라는 지위가 대학(大學) 해석에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홍재전서(弘齋全書)』안에 수록된 경사강의⋅대학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대학은 유학의 정치철학과 주자학적 세계관을 동시에 연구할 수 있는 경전이기에 정조가 군사로서 대학을 이해할 때 보다 명확히 드러난다. 군주로서의 대학 해석은 애민사상(愛民思想)으로까지 확장되었으며, 현실정치의 제도를 대학에서 찾고자 하는 노력으로 확장되었다. 반면에 학자로서의 대학 해석은 정조의 학문적 특징과 관계가 있다. 정조는 끊임없이 질문하고 분석하고 의심하는 학자적 태도를 갖추고 있었는데 이는 경사강의⋅대학의 질문에서 확인된다. 아울러 경사강의⋅대학의 조목(條目) 순서가 주희의 대학장구(大學章句)순서를 따랐으므로 이는 정조의 학문적 성향이 주자학적 학문관의 계승과 보완의 성격을 지닌다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군사로서의 대학 해석의 이해를 통해서 조선 국왕의 주자학적 학문관의 계승과 정치철학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지니는지 고찰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King Jeongjo's (reigned: 1776-1800) understanding of the Great Learning (『大學』) from the perspective of Gunsa (君師). King Jeongjo's comprehens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has consistently been recognized as crucial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al thought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Existing research commonly asserts that King Jeongjo's Confucian Classics(經學) exhibit the influence of Jujahak(朱子學) scholarship rooted in Confucian scriptures(經傳). To provide a more detailed examination of King Jeongjo's ideologies,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the discussions presented in Gyeongsa-Gangui⋅The Great Learning(『經史講義⋅大學』) aiming to elucidate Jeongjo's political philosophy.
    The Great Learning serves as a significant source for studying both Yuga's political philosophy and Jujahak's worldview. Through King Jeongjo's understanding of Gunsa, these aspects can be more thoroughly examined and elucidated. King Jeongjo's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as Gunsa encompassed the notion of the compassionate governance(愛民) ideology. He sought to identify the principles of realpolitik within The Great Learning and applied them to his governance efforts. Simultaneously, King Jeongjo's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as a scholar was closely tied to his academic characteristics. He maintained a scholarly mindset of continuous questioning, analysis, and skepticism, as evidenced by the interrogative nature of the questions in Gyeongsa-Gangui⋅The Great Learning.
    Furthermore, the sequencing of the questions in Gyeongsa-Gangui⋅The Great Learning aligns with the order of Zhu Xi's Daehakjanggu(『大學章句』), illustrating the interplay between King Jeongjo's scholarly inclinations and the scholarly outlook inherited from Jujahak.
    King Jeongjo's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as Gunsa exhibits a distinct characteristic that highlights both the perspective of a ruler and that of a scholar. This enabled us to explore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King Jeongjo's inheritance of Jujahak scholarship and his political philosophy based on Confucian Class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