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전반 충청도 지역 지방통치와 사회문제 연구 -1833년 암행어사 황협의 『繡行紀事』 분석을 중심으로- (Local ruling and social issues of the Chungcheong-do province area, in the early half of the 19th century -Examination of the 『Suhaeng Gisa/繡行紀事』 Memoir, created by Hwang Hyeob who served as a Royal 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8.03
31P 미리보기
19세기 전반 충청도 지역 지방통치와 사회문제 연구 -1833년 암행어사 황협의 『繡行紀事』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26호 / 141 ~ 171페이지
    · 저자명 : 심재우

    초록

    본고는 1833년 충청도 지역에 파견된 암행어사 황협이 남긴 『繡行紀事』 자료의 분석을 통해 19세
    기 전반 이 지역 지방관의 실태와 사회문제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정부의 대응책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순조대 암행어사 파견의 특징을 살펴보고, 황협의 보고서가 처리되는 과정
    을 추적하였다. 분석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 순조대에는 재위 35년간 총 56회의 암행어사가 파견되었으며, 특히 三南 지역은 대체로 어
    사가 5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파견되었다.
    둘째, 1833년에는 모두 4명의 암행어사가 지방에 파견되었으며, 충청도의 경우 좌도와 우도 두 곳
    에 파견되었다. 우도에 파견된 암행어사 황협은 약 5개월간에 걸쳐 조사한 염탐 자료를 書啓ㆍ別單
    의 형태로 조정에 보고하였다.
    셋째, 황협이 제출한 서계ㆍ별단을 통해 당시 이 지역 수령통치, 사회문제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
    었다. 19세기 전반 다른 지역에서와 마찬가지로 부세 제도 운영의 문란, 지방관의 비리, 지역의 특수
    한 폐단 등이 확인되었다.
    넷째, 정부는 황협의 보고를 토대로 비리 지방관의 처벌, 사회문제의 개선책 등을 내놓았다. 이를
    통해 볼 때 전체적으로 이 시기 국가 기구의 위기관리 시스템은 작동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지방관의 징계 효과가 크지 않았고, 제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제도 개혁 조치를 마련하지 못한 점
    은 정부 대응책의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the 『Suhaeng Gisa/繡行紀事』 Memoir created by Hwang Hyeob, who was dispatched to the Chungcheong-do province area in 1833 as a Royal secret commissioner, is examined. By doing so, the status of the local officials who functioned as administrators in this region during the early 19th century, the nature of social problems and issues that were considered relevant by the residents in this region at the time, and the government's response to those problems and how they addressed the issues, are all analyzed here as well. First of all, the overall characteristics that the fashion of royal secret commissioner dispatching exhibi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unjo is examined, and then how Hwang Hyeob’s report was processed through channels, is examined as well.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 First, during the 35 years of the reign of King Sunjo, Royal secret commissioners were dispatched for total of 56 times, and to the three major provinces in the peninsula’s Southern region, commissioners were dispatched on a regular basis, with a 5-year interval.
    Second, in the year 1833, total of 4 Royal secret commissioners were dispatched to local areas, and to the Chungcheong-do province, commissioners were dispatched to both the Jwado(left section) and Udo(right section) sub-provinces. Hwang Hyeob was dispatched to the Udo sub-province as a Royal secret commissioner, and later he filed a report in the form of Seogyae/書啓 and Byeoldan/別單, which contained all the data he had gathered for roughly 5 months, and sent it to the government.
    Third, through the Seogyae and Byeoldan reports submitted to the government by Hwang Hyeob, we can identify the Suryeong prefects’ ruling fashion in the region, and the issues that were deemed relevant by the people at the time. The region was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and problems that were quite similar to those which troubled other regions as well in the early 19th century, such as the disorder and breakdown of the taxation system, or corruption of the local administrators. Also, aside from those problems, the region Hwang Hyeob visited was being troubled by a fair share of its own unique problems as well.
    Fourth, after receiving Hwang Hyeob’s report, the government endeavored to address the situation by punishing corrupted local officials and devising plans to resolve social issues. We can say that the government’s management system of national problems was indeed working. Yet the effect of punishing local officials did not last very long, and fundamental reforms of administrative institutions were never attempted. Such aspects show that the government failed to deal with the national problems from a broader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