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王私’와 ‘城下麥’ (A Review of ‘王私’ and ‘城下麥’ of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in Seongsansanseong(城山山城) Fortress in Hama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2.04
24P 미리보기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王私’와 ‘城下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54호 / 199 ~ 222페이지
    · 저자명 : HASHIMOTO Shigeru

    초록

    본고는 함안 성산산성 하찰목간의 성격을 밝히기 위해 목간에 나오는 王私와 城下麥에 주목하여 검토한 것이다.
    최근에 팔거산성에서 새로 출토된 목간을 통해서 성산산성 목간의 王私가 주목되었다. 종래 王私는 2점에서만 나온다고 생각되었지만 새로 3점에서 판독해서 적어도 5점이 있는 것을 지적했다. 이 王私는 <삼국사기>에 보이는 內省의 私臣과 本彼宮의 私母를 참조해서 왕・왕실과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私臣과 私母는 宮을 통해서 왕실의 토지, 예속민 관리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크며 王私도 그러한 왕・왕실이 소유하는 토지, 예속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王私 목간에 나오는 촌이 왕・왕실의 직할지이며 인명은 거기에 예속된 사람으로 볼 수 있다.
    다음에 王私 앞에 나오는 城下麥의 의미를 검토했다. 城下麥 목간은 물품명이 앞에 나오는 등 기재양식이 특이하다.
    城下麥의 해석에 관해서 城下를 ‘城에 예속된’ ‘城 아래’ 등으로 해석하는 설이 있다. 하지만, 麥이 城下 다음에 오는 것을 잘 설명하지 못하고, 城下 다음에 바로 지명이 오는 사례가 없는 것도 문제이다. 같은 촌명 앞에 다른 성이 나오는 목간도 설명하기 어렵다.
    그래서 下를 동사로 보고 ‘城이 내린 麥’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신라에서 반대말인 上이 국가에 올리다, 上納하다는 뜻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촌명+인명 부분은 담세자나 수송자보다는 역역동원된 사람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王私가 나오는 城下麥 목간은 왕실 직할지에서 역역동원된 사람에게 거점성이 식량을 지급한 것으로 이해된다.

    영어초록

    In order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in Seongsansanseong fortress in Haman, this paper focuses on ‘王私’ and ‘城下麥’.
    Recently 王私 of the wooden tablets of Seongsansanseong Fortress was noted through the newly excavated wooden tablet from Palgeosanseong(八莒山城) fortress. Previously it was thought that 王私 only appeared in two wooden tablet, but it was newly read in three and pointed out that there were at least five.
    The 王私 is thought to be related to 內省私臣 and 私母 of 本彼宮 shown in <Samguksagi>. In addition, it is highly likely that 私臣 and 私母 were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royal land and subordinates through the 宮. Therefore, the 王私 is also presumed to be related to the land and subordinates owned by kings and royal families. The village and the people seen in these wooden tablets are the land and subordinates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kings and the royal families.
    Next, we reviewed the meaning of 城下麥. The wooden tablets with 城下麥 has a unique format with grain name coming front.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城下麥, there is a theory that interprets 城下 as "under the fortress" or "subjugated to the fortress". However, it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not able to explain well why 麥 comes after 城下, and there is no case of village names coming immediately after 城下, and it is impossible to explain that different castles appear in front of the same village.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view 下 as a verb and interpret it as "fortress gave barley." This is because the opposite word 上 was used to mean “raise to the state” in Silla. And the <village name+person> part is assumed to be people mobilized for labor rather than taxpayer or transporter.
    In conclusion, it is understood by the wooden tablets with 王私 and 城下麥 that fortresses provided barley to the people who were mobilized for labor from the land owned by kings and royal famil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