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익산 彌勒寺 창건의 신앙적 배경 —彌勒信仰과 法華信仰을 중심으로— (Religious Meaning Behind establishing Mireuksa Temple[彌勒寺] in Iksan[益山] of Backjae[百濟])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09.06
37P 미리보기
백제 익산 彌勒寺 창건의 신앙적 배경 —彌勒信仰과 法華信仰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32호 / 1 ~ 37페이지
    · 저자명 : 조경철

    초록

    미륵사는 彌勒三會의 설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3탑 3금당 곧 중원․동원․서원의 가람배치로 조성되었다. 그런데 이번에 발견된 미륵사 서탑 사리봉안기에 의하면 미륵신앙과 善化公主에 대한 언급은 없고 沙宅王后가 석가모니의 사리를 봉안하고 있다. 사택왕후의 불교적 성격은 彌勒信仰보다는 法華信仰에 가까웠다. 사택왕후와 동시대를 살았던 大佐平 砂宅智積은 『법화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석가모니와 형제이며 대통부처의 아들이기도 했다. 사택왕후가 법화신앙자라면 미륵사의 중원에 석가를 모시지 미륵을 모시진 않았을 것이다. 중원은 미륵신앙자인 선화공주에 의해서 건립되었고, 동원과 서원은 법화신앙자인 사택왕후에 의하여 건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미륵사는 미륵신앙과 법화신앙이 조화를 이룬 사찰이었다. 가람배치의 측면에서도 미륵의 미륵삼회와 법화의 會三歸一이 어우러졌다. 무왕은 미륵사 창건을 통해 자신을 전륜성왕과 미륵으로 자처했고, 대표적인 귀족가문인 사택씨의 법화신앙을 받아들여 사상의 조화와 정치적 통합을 이루려고 하였다.

    영어초록

    Mireuksa temple[彌勒寺] consist of three stupas and three Geumdang halls[金堂], which was built to embody the three sermons of the Maitreya[彌勒三會]. According to Samgukyusa[三國遺事], it was established by Princess Sunwha[善花公主]. But the document of enshrined Sarira[舍利奉安記] was discovered in the west stupa in 2009. According to the document Mireuksa temple was established by Queen Sataek[沙宅王后]. Her belief was closer to the Buepwha belief[法華信仰] rather than the Maitreya belief[彌勒信仰]. Daejwapeung[大佐平] Sataekjijeuk[砂宅智積] was the Queen's relative. He also believed in the Buepwha belief. Sataekjijeuk is the brother of Sakyamuni[釋迦牟尼] and the son of Mahabhijna-jnanabhibhu[大通(智勝)佛].
    Stupa and Geumdang hall in the center field[中院] was established by Princess Sunwha with her faith in Maitreya belief. Stupas and Geumdang halls on each side[東西院] was established by Queen Sataek believing in Buepwha. Mireuksa temple was built based on Samgharama[伽藍] to harmonize Maitreya and Buepwha. King Mu[武王] identified himself as a Maitreya buddha and as the Cakravartinrajan[轉輪聖王]. After accepting the belief of Buepwha of the Sataek[沙宅] family, he wanted to pursue the harmony of thoughts and political 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