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開善寺 智藏과 三論學의 성립 (Zhì-zàng(智藏) of Kāi-shàn-sì(開善寺) and the Formation of Sān-lùn(三論) Traditi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09.08
27P 미리보기
開善寺 智藏과 三論學의 성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54호 / 157 ~ 183페이지
    · 저자명 : 김성철

    초록

    삼론학 문헌을 보면 비판의 대상이 되는 인물 가운데 대표적인 사람이
    梁의 三大法師 가운데 開善寺 智藏임을 알 수 있다. 인용 횟수도 가장 많을
    뿐만 아니라, 신삼론의 ‘十重二諦義’가 지장의 사상을 비판하기 위해 고안되
    었다는 점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신삼론 전통의 성립과정을
    조명하기 위해서는 그 對蹠點에 있었던 지장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帝
    王卽如來佛’을 표방했던 北朝와 비교할 때 황권이 승권보다 취약했던 南朝
    에서, 梁武帝는 황권 강화를 위해 여러 가지 시도를 하는데, 金陵의 승려들
    가운데 양무제의 정략에 가장 극렬하게 저항했던 인물이 지장이었다. 양무
    제는 황권과 관련하여 전혀 위험하지 않았던 ‘은둔자 僧朗’과 함께, 가장 위
    험했던 ‘저항자 智藏’ 역시 外護하였다. 양무제의 정략적 외호를 받았기에
    兩大 학계는 후대까지 존속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사상적 입지가 달랐기
    에 梁 멸망 직후 승랑의 孫弟子인 법랑이 攝山에서 금릉으로 내려와 삼론
    가의 가장 강력한 라이벌이었던 지장의 사상을 논박하면서 破邪顯正의 방
    식이 삼론학의 특징으로 자리 잡는다. 지장은 삼론학의 성립과정에서 逆行
    菩薩과 같은 역할을 하였다.

    영어초록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Sān-lùn(三論) tradition is its vigorous
    critique on the theories of the other sects. In Sān-lùn treatises we
    can find that Zhì-zàng(智藏) of Kāi-shàn-sì(開善寺) wa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stood against Sān-lùn tradition. It can be proved by the
    frequency of the quotation from Zhì-Zàng’s ideas. Jí-zàng(吉藏)
    wrote that his teacher Fă-lăng(法朗) explained the meaning of Èr-dì
    (二諦) by dividing the content into ten chapters to criticize Zhì-zàng
    and the way of division was derived from Zhì-zàng’s idea.
    The reason why Zhì-zàng emerged as a representative monk in
    Liáng dynasty was intimately related with a kind of strategy of
    Liáng Wǔ-dì(梁無帝) to strengthen his politico-religious power against
    the monks of Liáng dynasty. Wǔ-dì intended to make a new rule of
    Dharma-seat in the palace and tried to be a chief supervisor of
    Buddhist Saṅga as a layman. But he gave up his intention, because
    of Zhì-zàng’s severe resistance. Zhì-zàng was the most dangerous
    monk in Jīn-líng(金陵). Unexpectedly Wǔ-dì praised Zhì-zàng’s bravery
    and scolded all the other monks for their being chicken-hearted.
    Wǔ-dì used Zhì-zàng’s resistance as an opportunity of suppressingthe monks in Jīn-líng.
    Wǔ-dì lectured Prajñāpāramita Sūtra and wrote commentaries on
    it. The prince Zhāo-míng(昭明) taught the meaning of Èr-dì to the
    venerable monks in Jīn-líng. In commenting on Prajñāpāramita Sūtra,
    Wǔ-dì introduced the interpretation of Seung-rang who educated his
    pupils only in Shè-shān(攝山). Wǔ-dì used Seung-rang’s idea as a
    new ideology to govern his empire.
    By the support of Wǔ-dì, both traditions of Seung-rang and
    Zhì-zàng can survive long. But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their
    interpretations of Buddhist philosophy. Soon after the collapse of
    Liáng dynasty, Fă-lăng came down from Shè-shān to Jīn-líng and
    criticised vigorously the theory of Zhì-zàng who has been the
    strongest rival of Sān-lùn tradition.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Sān-lùn tradition was formed by the counter-influence of Zhì-zà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