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天⿓寺의 역사적 변천 - 寺院, 문헌과 발굴 자료 - (Buddhist Temple, Literature and Excavation Materials - History of Cheonryongsa (天⿓寺) in Gyeongju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4.06
24P 미리보기
경주 天⿓寺의 역사적 변천 - 寺院, 문헌과 발굴 자료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64권 / 7 ~ 30페이지
    · 저자명 : 박광연

    초록

    이 글에서 다양한 문헌 자료와 발굴 자료를 종합하여 그동안 경주 천룡사(天⿓寺)의 역사에서 해명되지 못했던 문제들을 풀어보았다.
    먼저 『삼국유사』에서 천룡사를 설명하면서 사천왕사(四天王寺) ․ 망덕사(望德寺)의 역사에 등장하는 악붕귀(樂鵬龜)를 출현시킨 것은 천룡사 중건의 명분을 보완하기 위함이었다. ‘신서훈요’의 발견자였던 최제안(崔齊顔, ?~1046)은 천룡사의 지리적 위치가 국운(國運)이 직결된 곳이기에 천룡사를 중건해야 한다는 명분을 강조하였다.
    고려후기~조선전기의 천룡사는 규모가 크고 경주에서 위상이 높은 사원이었다. 천룡사 승려곡지(谷之) 대선사(大禪師)와 일연(一然, 1206~1289)과의 인연으로 천룡사가 조계종과 관계가 맺었을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조선 세조가 인출을 명했던 해인사의 대장경 1부를 천룡사에 보관하고 있었으며, 15세기부터 직접 이곳에서 불서를 간행하였다. 발굴 보고서에서 경판고로 추정했던 건물지는 대장경 보관 및 불서 간행과 관련 있을 듯하다. 경주 남산에 김시습의 초상화를 모신 매월당(梅⽉堂)이 있었고, 매월당을 찾던 문인들이 천룡사에 들렀다는 기록이 18세기의 것까지 남아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synthesized various literature and excavation materials to solve problems that have not been clarified in the history of Cheonryongsa in Gyeongju.
    First, the reason why Akbungwi (樂鵬龜), which appeared in the stories of Sacheonwangsa (四天王寺) and Mangdeoksa (望德寺), appeared in the Cheonryongsa article of Samgukyusa was to supplement the justification for the rebuilding of Cheonryongsa. Choi Je-an (崔齊顔, ?-1046), who was the discoverer of ‘Ten Injunctions (Hunyo Sipcho, 訓要⼗條)’, insisted that Cheonryongsa should be rebuilt because its geographical loc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untry's fortunes.
    Cheonryongsa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a high-ranking temple in Gyeongju. In the late Goryeo Dynasty, Cheonryongsa may have belonged to the Jogye Order due to its relationship with Ilyeon (一然, 1206-1289).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heonryongsa kept one copy of the Haeinsa Tripitaka, which King Sejo ordered to withdraw, and published a Buddhist scripture here. There was Maewoldang (梅⽉堂) in Namsan, Gyeongju, where Kim Si-seup's portrait was enshrined. There is a record that writers who visited the Maewoldang stopped by Cheonryongsa until th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