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운초(云初) 장사훈(張師勛)의 음악학 (The Musicology of Uncho (云初) Chang Sa-Hun (張師勛, 1916~1991))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1.12
25P 미리보기
운초(云初) 장사훈(張師勛)의 음악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70권 / 61 ~ 85페이지
    · 저자명 : 신대철

    초록

    어린 시절 한학 수학으로 잘 무장된 운초는 대학 수학을 하지 않았지만, 각고의 노력 끝에 대학 국문학과와 국악과 교수자격을 획득, 1954년 이후 1991년 영면(永眠)에 이르기까지 대학교수로서 우리음악 연구와 교육에 전념하였다. 이 역정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그는 고악보, 고악서, 고문헌 등에 담긴 음악과 음악 관련 제반사를 연구영역으로 하였다. 궁중음악, 보허자, 영산회상, 가악, 악기, 전통무용 등에 집중된 그의 연구는 주로 기록된 악․가․무와 관련된 사안을 다루고 있어 그의 음악학에서 여러 갈래의 민속음악은 다소 미흡하게 취급되었다.
    운초가 기록된 악․가․무를 아우르며 이룩한 모든 연구성과는 하나하나가 우리음악 이론과 역사 정립(定立)과 정립(正立)에 큰 도움을 주는 귀중한 위업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그의 위업에서 특별히 기억할만한 사안을 간추려 꼽아본다면 보허자와 그 파생곡을 밝히고 향악화의 과정을 살핀 일, 영산회상의 정체를 밝힌 일, 최초로 국악개론서와 우리음악 전사를 저술하고 이의 보완작업을 계속하여 성취한 일, 한쪽 눈을 실명하면서도 홀로 엄청난 규모의 『국악대사전』을 저술한 일, 『조선왕조실록』에 담긴 음악 관련 기사를 집대성한 일이 다른 어떤 사안들보다 더 기억될만한 그의 학문적 위업이라 하겠다. 특히 이 중에서도 『국악대사전』의 저술은 그의 학문적 성과가 이룩한 위업 중 위업이라 하겠다.
    운초의 거의 모든 연구 결과물들과 그 성과는 증거 제일주의의 실증주의로 일관된 학문 세계에서 계획되고 창출된 소산이었다. 그의 실증주의적 연구 자세는 여러 고악보, 고악서, 고문헌 등에 기록으로 담긴 음악 관련 제반 사실(事實)과 사실(史實)에 바탕을 두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운초의 음악학은 실증적 음악학이 되고, 그는 실증주의를 바탕으로 하여 자신만의 음악학 세계를 펼치며 우리음악 연구의 일익을 크게 담당한 선구적 학자가 된다.

    영어초록

    Uncho Chang Sa-Hun, prepared well with Chines classics studied while he was young, hadn’t got a college education. However, he had exerted himself so much to be a college professor and finally got two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 of professor for Korean literature and music. As a professor, he had devoted himself to teach and research on Korea music until his death in 1991 since 1954. Taking his degree of Lit. D. during this teaching and researching process, he had researched on the music and music concerned matters in old musical anthologies and old literatures on music. His researches, concentrated on court music, Boheoja (步虛子), Yeongsan-hoesang (靈山會相), vocal music by the literati of Joseon (朝鮮) Dynasty, musical instruments and traditional dances, had mainly handled recorded music and dances so that several genres of folk music had been insufficiently handled a bit in his musicology.
    Everything of all the fruits of research on the recorded music and dances by Uncho can be called great achiev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music history and theory. Study on the variations of Boheoja and its Koreanized phenomena, study on the identity of Yeongsan-hoesang, writing books on the introduction to Korea music and Korean music history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music history, writing a bulky volume Encyclopedia of Korean Music losing the sight of one eye, and editing the music concerned articles in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are the most memorable scientific research results of all his research outcomes. Especially, it can be said that writing Encyclopedia of Korean Music is the feat of feats among all his scientific contributions.
    Almost all research results and scientific fruits by Uncho had consistently been planned and called into being by his scientific attitude based on positivism. His research attitude of positivism was based on the recorded music and music concerned historical facts in old musical anthologies and music concerned old literatures. Consequently Uncho’s musicology can be called positive musicology, and he will be regarded as a pioneer of studying Korean music who made his own world of musicology and acted a part of studying Korean music based on positiv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