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월인천강지곡의 부안 실상사 소장 경위와 그 전래 과정 (The Sequence of Possession of Weolincheongangjigok (月印千江之曲) of Silsangsa (實相寺) Temple in Bua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4.10
28P 미리보기
월인천강지곡의 부안 실상사 소장 경위와 그 전래 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32호 / 48 ~ 75페이지
    · 저자명 : 안승준, 유학영

    초록

    사찰에 소장되었던 고서는 그 출처와 소장내력을 잘 알지 못하는 것들이 많다. 월인천강지곡 또한 마찬가지이다. 필자는 평소 사찰 문헌이 원래의 소장처와 그 전래 경위가 밝혀지지 않은 것에 대해 많은 의문을 품어왔다. 본고에서는 월인천강지곡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탁을 계기로 본 도서의 이동 경로 및 그 원인과 배경을 구명해 보고자 하였다. 세종대왕이 지은 歌詞 월인천강지곡이 외진 전라도 변산반도의 실상사에 보관되어 있었는가? 실상사와 월인천강지곡, 그리고 효령대군과는 어떠한 因果가 있었는가? 라는 근본적 물음에서부터 동학농민전쟁, 일제 강점기, 6.25 사변이라는 근대사 전개과정에서 월인천강지곡의 소장 경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요컨대 본고는 월인천강지곡이란 책자가 1462년~1466년 실상사 奉安된 이후 1960~70년대까지 약 500년간 역사적 공간을 추적해 그 傳存 과정을 살펴본 논고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15세기 중엽 효령대군에 의해 부안 실상사에 월인청강지곡이 佛腹藏됨-20세기 초, 1462년과 1466년에 작성된 실상사 三尊佛 조성을 위한 普勸詞 (勸善文) 2건과 실상사 중창 發願文(1건)이 발굴되었다. 이 3건의 고문서를 통해 효령대군에 의해 실상사 삼존불이 조성되었고, 4년 뒤에 실상사가 중창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삼존불 조상과 사찰의 重建을 계기로 월인천강지곡이 효령대군에 의해 佛腹藏되었다. 실상사에 월인천강지곡이 소장된 것은 이 절이 바로 세조의 願堂으로서 사회 경제적 위상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② 19세기 말 동학농민들에 의해 실상사 불상을 파괴하면서 월인청강지곡이 세상에 나오게 됨-1894년 동학농민들은 실상사 부처의 몸에 금은보화가 숨겨져 있다는 말에 불상이 파괴하였다. 이 때 금은보화는 발견되지 않고 다수의 고서와 고문서가 불복장 속에서 쏟아져 나왔다. 이때 월인천강지곡이 세상에 나왔으나 이를 알아보는 사람은 없었다. ③ 1914년 白鶴鳴 스님이 부안 실상사 불복장에서 월인천강지곡 발견함-1914년 봄, 부안 來蘇寺에서 20리 거리에 있는 實相寺의 법당이 퇴락하고 本尊佛도 더 이상 수리할 수 없게 되자 당시 내소사 주지였던 白鶴鳴 스님이 불상의 腹中에 봉안된 月印千江之曲 상권 1책을 발견하였다. ④ 1918년 鞠黙潭 스님 인수함-1918년 10월, 국묵담(1896~1981) 스님이 來蘇寺에서 당시의 실상사 주지 金性連 스님에게서 月印千江之曲 上’을 인수해 왔다. 이후 국묵담스님의 주석처를 따라 백양사 청류암, 담양 용화사에서 보관, 관리하였다. ⑤ 1961년 광주체신청 陳錤洪 청장 인수함-1961년 1월 23일. 국묵담 스님이 ‘월인천강지곡을 陳遞信廳長님께 드리는 말씀’이라는 서한과 함께 월인천강지곡을 당시 光州遞信廳 청장이었던 陳錤洪씨에게 인계하였다. 진기홍씨가 소장하던 1963년 9월 2일, 문화재청에 의해 보물 제 398호로 지정되었다. ⑥ 1972년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金光洙 사장 인수함-1972년 7월 21일, 大韓敎科書 주식회사(뒷 날의 ㈜ 미래엔) 金光洙 사장이 진기홍 청장으로부터 월인천강지곡을 인수하여 회사에서 收藏하게 되었다. ⑦ 2013년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에서 위탁 관리함-㈜미래엔에서 월인천강지곡을 韓國學中央硏究院 藏書閣에 寄託, 2013년 6월 26일 기탁식 거행하였다. 이때 미래엔 김영진 사장,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정길 원장 등 참석하였고, 이때부터 장서각이 관리의 주체가 되었다.

    영어초록

    Many old books stored in temples are without reliable source of their origin and sequence of possession, including Weolincheongangjigok. The author has been interested in the origin of temple books and started a research taking the opportunity that the book is deposited in Jangseogak librar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is article traces the original place where the book was stored and the sequence of possession including background. How the book written by King Sejong was stored in the remote place of Silsangsa temple in Byeonsanbando peninsula in Jeollado province? How Silsangsa temple, the book, and Prince Hyoryeong were related? How the book was handed down through Donghak peasant revolutio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Korean war? This article tracks the historical space of the book's existence from 1462-1466 when it was stored in Silsangsa temple to 1960-70, covering about 500 years. The findings are as follow. ① In mid 15th century, it was stored inside of a buddha statue in Silsangsa temple, Buan, by prince Hyoryeong. 2 articles 普勸詞 (勸善文) written in 1462 and 1466 encouraging donation to build triple buddha 三尊佛 in Silsangsa temple and an article 發願文 for rebuilding the temple were found in early 20th century. The three documents confirmed that the triple buddha in Silsangsa was built by prince Hyoryeong and the temple was rebuilt 4 years later. At the time the book was stored inside the buddha. Silsangsa was a prestigious temple 願堂 dedicated for the heavenly peace of King Sejo. ② In 1894 Donghak devotees destroyed the buddha to find gold and silver treasures inside the buddha believing in a rumour. Instead, old books and documents came out. However no one paid attention to the book, Weolincheongangjigok, among them. ③ In the spring of 1914, monk Hakmyeong Baek 白鶴鳴 who was in charge of Naesosa 來蘇寺 temple, about 20-ri (8 Km) away from Silsangsa temple, discovered volume 1 of the book inside a buddha in Silsangsa, Buan. At the time the building and buddha in Silsangsa were decayed and impossible to repair. ④ In 1918, monk Gukmukdam 鞠黙潭 (1896~1981) took over the volume 1 from the chief monk 金性連 of Silsangsa at the time. Monk Gukmukdam stored and maintained the book in his residences of Cheongryuam in Baekyangsa temple and Yonghwasa temple, Damyang. ⑤ On January 23rd, 1961, monk Gukmukdam hand over the book to Gihong Jin 陳錤洪, chief officer of Gwangju Regional Communication Office 光州遞信廳, with an accompanying letter words (a letter) sending a book, Weolincheongangjigok, to chief officer Jin of Gwangju Regional Communication Office. The book possessed by Jin was designated as treasure no. 398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⑥ On July 21st, 1972, Gwangsu Kim 金光洙, c.e.o. of Daehangyogwaseo Korea textbook 大韓敎科書 company (later Mirae N) took over the book and stored in the company. ⑦ On June 26, 2013, Mirae N Co., Ltd. deposited the book to Jangseogak library and hold a ceremony with the presence of c.e.o. Yeongjin Kim of Mirae N. and president Jeonggil Jeong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From then on, Jangseogak maintains the b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