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어 형용사 「かわいい」 소고 (A Study on Kawaii かわいい)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9.06
18P 미리보기
일본어 형용사 「かわいい」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 예술 / 6호 / 127 ~ 144페이지
    · 저자명 : 이영숙

    초록

    일본인들이 사랑하고 즐겨서 많이 쓰는 형용사로는 かわいい를 들 수 있는데, かわいい는 일본의 미의식과 일본 문화를 대표하는 단어로 세계로 널리 보급되어 ‘귀엽다’, ‘사랑스럽다’라는 의미로 확대되어 사용하게 된다.
    현재 일본 경제의 핵심을 담당하는 키워드로 일본과 일본제품을 나타내며 큰 가교 역할을 하고 있는 かわいい 문화와 그 현상을 분석하고 역사적인 변화를 고찰하는 작업을 통해 かわいい가 어떻게 일본사회와 경제에 키워드로 군림했는지를 역사적 문맥 안에서 조사하고 실증한다.
    문학 작품을 통해서 사적으로 살펴보면, 枕草子의 일본문화를 찬미하는 글 속에서 작은 것, 어린 것을 찬미하고 긍정적으로 아름답게 받아들이는 일본적인 전통이 전해져 왔는데 이와 같은 통시적인 연구를 통해서 かわいい 미학을 역사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かわいい문화가 일본문화의 특징으로 일컬어지고, 일본에서 나오고 발전한 과정에 대해서 이와 같은 かわいい문화의 융성은 일본의 독자적 미학인지, 일본문화의 특징에 의해 발전 확장된 것인지를 かわいい의 의미와 변천과정을 통시적으로 알아보고 근‧현대 일본문학 작품 등을 통해서 실증적으로 고찰한다.
    かわいい의 사적연구의 결과, かわいい는 사람들에게 사랑을 나타내는 정의성 형용사(情意性 形容詞)로 사용됨과 함께 작은 물건의 속성을 나타내는 상태성 형용사(狀態性 形容詞)로 사용되는 예를 볼 수 있었다. 정의어(情意語)에서 상태어(狀態語)로 사용되면서 かわいい의 사용범위가 확대되어 이에 따른 かわいい의 어의확대 현상도 볼 수 있었다.
    또 일본 かわいい문화의 특수성은 옛날부터 어린 것, 작은 것, 미성숙한 것에 가치를 두어서 かわいい의 사용범위를 넓여 간 것에 있으며, 일본에서 かわいい문화가 발전 융성된 것은 작은 것을 사랑하는 일본인의 축소지향의 가치관에도 있다고 본다.
    같은 동양의 한국인, 중국인에 비해서 일본인은 작은 것에 대한 애착이 강하고, 일본문화의 근저에는 매사를 축소하려는 원리가 있다. 이러한 일본문화의 특징에 의해서 사물을 더 사랑스럽고 작고 강한 것으로 변화시키는 かわいい문화가 발전되어 근대 이후의 대중문화와 현 사회와 시대가 요구하는 경박단소(輕薄短小)의 상품화와 함께 일본적인 かわいい문화가 발전 확장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볼 수 없는 일본 문학작품을 통한 かわいい의 통시적 고찰과 실증적으로 검토한 용례를 통해서 일본문화의 큰 특징의 하나인 かわいい문화와 현상을 알 수 있기에 중요한 의의와 가치가 있다.

    영어초록

    One of the adjectives that the Japanese use often is Kawaii かわいい. かわいい is a word representing the aesthetics of Japan which was widely spread around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It is now used to have the extended meaning ‘cute’ and ‘lovely.’ かわいい has brought a great deal of economic benefits to Japan, and is a keyword that now plays a key role in the Japanese economy. It represents Japan and Japanese products, and acts as a mediator for international exchange.
    This paper studies and demonstrates in the historical context how かわいい reigned as a legend in the Japanese society and as a keyword of the Japanese economy by analyzing the かわいい phenomenon and examining its historical changes.
    In the 11th century, Seisyounakonn 淸少納言 wrote a eulogy of the Japanese culture of Makuranosousi 枕草子, through this writing, the Japanese tradition of glorifying things that are small and young and accepting them positively and beautifully has been handed down, an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aesthetics of かわいい historically through diachronic studies.
    With regard to the process in which this かわいい culture came into being and developed in Japan, this paper will examine whether the prosperity of the かわいい culture is the independent aesthetics of Japan, and it was developed and expand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culture diachronically trough the meaning and changes of かわいい, and empirically study it through modern Japanese literature and surveys.
    The results of the diachronic study of かわいい and surveys showed that かわいい was used by people as an emotional adjective (情意性 形容詞) that signifies love, and as a stative adjective (狀態性 形容詞) that sign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ings that are small. As it was used both as an affective word and a stative word, the scope of the usage of かわいい was expanded, and remained in existence for a long time, and the meaning of this word was also expanded as a result.
    Also, the speciality of the Japanese culture has placed value on things that are young, small and immature from ancient times, and expanded the scope of the usage of かわいい, and the development of the かわいい culture in Japan can be attributed to the values of the Japanese who love are small things.
    It was revealed that compared to the Korean and Chinese people, the Japanese have a strong attachment to small things, and as the principle of reducing everything, which lies at the root of the Japanese culture, and the かわいい culture, which makes things lovelier, smaller and stronger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culture developed, and led to the post-modern popular culture, the light, thin, short and small products, which the modern society and times require, and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かわいい cul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and valuable i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culture were uncovered through the diachronic examination of words in literary works and comparison thereof with foreign langu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