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本朝女史』 연구 (The study of『Bonjoyeosa(本朝女史)』)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8.08
27P 미리보기
『本朝女史』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64호 / 29 ~ 55페이지
    · 저자명 : 황수연

    초록

    『본조여사』는 1898년에 편찬된 여성사이다. 저자인 김상즙(1862~?)은 근대전환기 유교 지식인으로서 과거의 여성을 통해 위기에 처한 국가에 대한 충성과절의를 회복하고자 사서를 집필하였다. 김상즙은 위정척사학파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도덕적 관점에서 인물을 평가하는 유교적 역사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동시에 개방적이고 유연한 역사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본조여사』에는 조선시대 165명 여성의 삶이 총 12개의 항목에 배열되어 있다.(168개 예화) 김상즙은 야서와 야담에 실린 글 가운데 여성과 관련된 일화를선별하거나, 개인의 문집에 실린 가장, 묘비명 등의 글을 재구성하거나, 자신이보고 들은 이야기를 직접 서술하는 세 가지 방식으로 글을 엮었다.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사료를 재구성하고 여성의 다양한 경험을 주목하고 수용하였으며, 자신의삶을 결정하고 주도적으로 개척해나가며 욕망을 실현하는 여성을 인정하였다.
    『본조여사』의 가장 큰 장점은 양반, 천인, 종, 기녀 등 다양한 신분의 여성을차별 없이 평등하게 다룬 것이다. 다양한 신분 여성을 통해 여성에 대한 새로운평가와 관점을 제시하였고, 동일한 신분 내에서도 여성의 ‘차이’를 다루었다. 『본조여사』는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사로서 역사에서 외면되었던 여성의 삶과 행적을복원하여 여성학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하고 있다.

    영어초록

    Bonjoyeosa was compiled by Kim, Sang-Jeup(金商緝, 1892~?) in 1898. Kim, Sang-Jeup who was a Confucian intellectual at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announced in the epilogue that it was compiled to recover loyalty and integrity to the country which was in crisi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uthor, a bibliography and the intention of compilation to understand its bibliographical and historical values. This book described a total of 164 women in 168 parts of 12 categories including good mothers, wise wives, poets, virtuous women, mistresses and female slaves etc. The author intended to describe all of good women regardless of social status and gave a focus on different experiences and life styles although some of them were in the same social status. This book shows that he was specially interested in women. He paid attention to stories of women even in writings where men were heroes, stories he directly heard and women's diverse experiences. He gave a focus on women who were active and not obedient, led their own life for themselves, and tried to realize their desires in the Confucian and patriarchal society. He could write history on special experiences of marginalized women because he reread a number of books focusing on women even though they were oriented toward men. Thus, Bonjoyeosa captured a number of women who had existed outside history into history, showing their diverse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