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희철학에서 활연관통은 순수한 인식 의미의 오(悟)일 뿐인가? (Is Huoranguantong Nothing But the Realization of the Pure Meanings of Awareness in Zhu Xi’s Philosoph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3.02
27P 미리보기
주희철학에서 활연관통은 순수한 인식 의미의 오(悟)일 뿐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62권 / 343 ~ 369페이지
    · 저자명 : 황갑연

    초록

    필자가 서술한 이 논문의 최종 목표는 주희철학의 활연관통(豁然貫通)에서 인식 위주의 신비주의적 요소를 탈각시킴으로써 도덕원리에 대한 지식(앎-知)과 의념의 순화(실천-行)가 필연적으로 연계되어 진행되는 유가철학 본연의 ‘앎’과 ‘실천’에 관한 이론인 지행론(知行論)을 정립하는 것’에 있다. 이 논문은 최종 목표 완성의 예비적 단계라고 할 수있다. 지금까지 주희 활연관통에 대한 신비주의적 경향은 대부분 인식론 범주에서 그 의미와 방법론이 탐색되었다. 따라서 인식 위주의 신비주의적 요소를 배제하는 것 그리고인식이 실천을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지행론 정립은 동일한 목적에서 드러나는 두 가지효과라고 할 수 있다. 격물치지를 통해 조금씩 조금씩(一分一分) 축적되는 지식은 실질적인 도덕실천 경험에서 얻어진 것이고, 구체적인 도덕실천 경험에서 얻어진 지식은 곧 도덕규범과 원리에 대한 인식이며, 이 인식은 필연적으로 의념을 자극하여 도덕동기의 순일함으로 구체화 된다는 것이 필자의 판단이다. 도덕동기의 순일함은 실제적 도덕정감의진실한 느낌이고, 이는 도덕실천의 근본적 역량이기 때문에 앎의 작용을 확충해가면서도덕적 지식을 축적하는 치지(致知)에서 의념을 순화하는 성의(誠意)로 진전되고, 다시더 나아가 힘써 실천하는 역행(力行)으로의 진행은 사실적 도덕 심리의 자연스러운 유행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으로 ‘앎(知)’과 ‘실천(行)’의 관계를 설정하면, 주희 도덕론에서 활연관통은 도덕지식의 완전함과 동시에 도덕 동기의 지극한 순일함1)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original knowledge and conduct theory of Confucian philosophy in which the knowledge and apprehension of the moral principles is inevi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ir progress by eliminating the mystical elements focused on awareness in Huoranguantong of Zhu Xi’s Philosophy." The mystical tendencies about Zhu Xi's Huoranguantong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ir meanings and methodologies mostly within the category of epistemology. Eliminating mystical elements focused on awareness and establishing the knowledge and conduct theory in which awareness is necessarily accompanied by practice are thus two effects of the same goal.
    Knowledge accumulated through Gewuzhizhi (格物致知) one after another is acquired from practical moral experiences. The knowledge acquired from moral experiences represents the awareness of moral norms and principles, and the awareness is necessarily specified in the purity of moral motives. Since the purity of moral motives is the true feeling of real moral emotions, which is the fundamental competence of moral practice, the progress from the perfecting of knowledge to a sincere intention and then to the great effort is a natural vogue of moral psychology. If relations between "knowledge" and "conduct" are set in this form, Huoranguantons in Zhu Xi's moral theory can be understood as the stimulus of moral knowledge and, at the same time, the sincerity of moral mo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