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인의 머리뼈지수와 바위능선-정중선각을 이용한 머리뼈 형태의 분류: 사후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Craniometric Analysis Using Cranial Index (CI) and Petrous Ridge-midline Angle (PMA) in the Korean Population: Postmortem Computed Tomography-based Study)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2.09
8P 미리보기
한국인의 머리뼈지수와 바위능선-정중선각을 이용한 머리뼈 형태의 분류: 사후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체질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해부·생물인류학 / 35권 / 3호 / 85 ~ 92페이지
    · 저자명 : 박광락, 조재호, 김디귿, 권형욱, 최유진, 이미정, 이수경, 최인석, 박정현

    초록

    사람의 머리뼈 형태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인종에 따라 그 형태학적인 특성의 차이가 뚜렷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후컴퓨터단층촬영 (PMCT) 영상을 활용한 한국인의 머리뼈 형태를 분류하기 위해 두 가지 분류방법을 복합적으로 분석하고, 각 분류방법에 대한 성별, 연령별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한국인의 해부학적, 체질인류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PMCT로 촬영된 단면영상 146장 (남72, 여 74)을 분석하였으며, 평균나이는 54.7±18.8세였다. 최대머리뼈길이를 최대머리뼈너비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머리뼈지수 (Cranial index, CI)를 산정하였고, 바위능선-정중선각 (Petrous ridge-midline angle, PMA)은 바위능선과 정중선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였다. CI의 머리뼈 형태 분류에서 짧은머리형이 129명 (88.4%), 중간머리형이 17명 (11.6%)으로 짧은머리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성별과 연령별 머리뼈 형태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MA의 머리뼈 형태 분류에서 짧은머리형이 86명 (58.9%), 중간머리형이 57명 (39.0%), 긴머리형이 3명 (2.1%)으로 짧은머리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성별에 따른 빈도분석에서 남자의 짧은머리형이 여자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p=0.010), 연령별 빈도분석에서도 중장년층과 고령층의 짧은머리형이 청년층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다(p=0.047). 결론적으로, CI와 PMA의 머리뼈 형태 분류 모두에서 짧은머리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이는 임상 및 법의인류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human skull has a very complex and diverse structur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distinct by r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skull shape of the Korean population by applying two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post-mortem computed tomography (PMCT) images, and to obtain anatomical data by comparing characteristics by gender and age group. 146 PMCT cross-sectional images (72 males, 74 females) provided by the National Forensic Service were analyzed, and the average age was 54.7±18.8 years. The maximum cranial length was divided by the maximum cranial width and multiplied by 100 to calculate the cranial index (CI). Petrous ridge-midline angle (PMA) was measured as the angle between the petrous ridge and the midline. In CI cranial morphology classification, brachycranic was found in 129 (88.4%) and mesocranic 17 (11.6%) cases, and brachycranic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skull morphology by gender and age group. In the skull morphology classification of PMA, brachycranic was identified in 86 (58.9%), mesocranic in 57 (39.0%), and dolicocranic in 3 (2.1%), and brachycranic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frequency analysis by gender, male brachycranic showed higher frequency than female (p=0.010). In the frequency analysis for age groups, the frequency of brachycranic in the middle and old age groups was higher than in the young age group (p=0.047). In conclusion, Brachycranic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both CI and PMA cranial morphology classifica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useful basic data that can be used clinically and forensic anthrop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부·생물인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