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화 <간 뺏길 뻔한 전처 아들>에 나타난 부모가르기서사의 특성과 피학대 아동의 건강회복 가능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Epic of Dividing Parents of the Tale and the psychological Health of Abused Childre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2.11
30P 미리보기
설화 &lt;간 뺏길 뻔한 전처 아들&gt;에 나타난 부모가르기서사의 특성과 피학대 아동의 건강회복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65권 / 9 ~ 38페이지
    · 저자명 : 김정애

    초록

    이 논문은 설화 <간 뺏길 뻔한 전처 아들>의 서사분석을 통해 피학대 아동에게 건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기왕의 심리학적 연구에서 부모에게 학대를 받은 아동들의 경우 심리적으로 위축되는 경향이 많은데, 특히 우울감이나 공격성이 학대경험이 없는 아동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며, 나아가 회복탄력성의 측면에서도 저하되어 있는 특성을 보인다고 논의된 바 있다. 이러한 아동들에게 설화 <간 뺏길 뻔한 전처 아들>이 갖는 문학치료적 가능성을 타진해보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 뺏길 뻔한 전처 아들>에서의 아들은 계모의 학대로 인해 집에서 도망을 치지만 도망간 이후의 세상에서 보다 나은 조력자를 만나고 조력자에 대한 전적인 신뢰를 기반으로 하여 자기세상을 구축하는 양상을 보인다.
    둘째, 피학대 아동이 학대경험으로 인해 우울감이나 공격성이 드러나거나 자존감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것과 비교해보면, 설화의 전처 아들은 부모에 대한 부정적 시각은 견지하면서도 집 이외의 관계에서는 성공적인 관계맺기를 이루어내고 있음이 확인된다. 부모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타인에게 전이시키지 않고 자신을 지지해주는 이에게는 긍정적인 시선을 견지하고 그들의 도움을 거부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곧 부모로부터 받은 상처로부터 회복되는 탄력성을 보유할 수 있었기 때문이며 이른바 부모가르기를 성공적으로 이루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본다.
    셋째, 문학치료 현장에서 학대경험으로 인해 자존감이 낮아 새로운 도전조차 못하는 아동에게 부모만이 세상의 전부가 아니며 그들과 가르기를 할 때 보다 나은 세상과 마주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설화로서 <간 뺏길 뻔한 전처 아들>이 유의미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seeks alternatives to ensure the healthy development of abused children through a narrative analysis of the folktale The Liver of the Son and the Stepmother. in which regard the therapeutic literary potential of the fairy tale The Liver of the Son and the Stepmother has been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iver of the Son and the Stepmother, the son runs away from home to escape his stepmother’s abuse. After running away, he meets an ally and builds his own world based on full trust in this new friend.
    Second, compared to cases where an abused child exhibits depression or aggression or develops low self-esteem due to the abuse, ex-wife’s son holds a negative view of his parents. Nevertheless, the story confirms that one can form successful relationships beyond the walls of one’s home, thereby avoiding transferring negative views of parents onto others and maintaining a positive view of people while accepting their help. I was resilient in recovering from the wounds I received from my parents. This outcome is attainable because I successfully survived my parents’ so-called “nurturing.” Finally, viewed in the broader context of the literature therapy field, the story helps abused children with low self-esteem learn to take on new challenges and recognize that their parents are not the entire world, teaching them that they could encounter a better world when they leave home. The Liver of the Son and Stepmother can thus be meaningfully used to help these child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