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도 빠따다깔(Paṭṭaḍakal) 비루빡샤(Virūpakṣa) 사원의 라마야나(Rāmāyaṇa) 서사 조각의 분석__라바나의 시따 납치 패널을 중심으로__ (A Rāmāyaṇa Narrative Sculpture in Virūpakṣa Temple at Paṭṭaḍakal)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9.08
53P 미리보기
인도 빠따다깔(Paṭṭaḍakal) 비루빡샤(Virūpakṣa) 사원의 라마야나(Rāmāyaṇa) 서사 조각의 분석__라바나의 시따 납치 패널을 중심으로__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56호 / 187 ~ 239페이지
    · 저자명 : 심재관

    초록

    이 논문은 빠따다깔에 소재한 비루빡샤 사원의 만다빠 기둥에 새겨진 하나의 라마야나 조각을 분석한 것이다. 초기 서부 짤루끼야 왕조 당시 건립된 사원들 가운데 많은 수는 라마야나를 적극 사원 내외벽에 조각했으며 조각의 규모도 이전 시대보다 대폭 확장되었다. 여러 패널에 나뉘어 연속적인 사건의 진행이 표현되기도 했고, 이번 연구처럼 단일한 하나의 조각패널 속에 내용상 많은 분량이 길게 표현된 조각도 있다. 특히 <라바나의 시따 납치>조각 패널은 비루빡샤 사원 만다빠 내의 남측 기둥에 새겨진 조각으로서, 하나의 패널을 횡으로 네 개의 열로 나누어 아란야칸다의 주요내용을 거의 다 조각해놓았다. 슈르빠나카가 단다까 숲에 거주하는 라마의 아쉬람에 찾아오는 장면부터 라바나가 시따를 납치한 후 자따유스와 전투하는 장면에 이르기까지 묘사되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발미끼의 라마야나와 비교하면서 가능한 이 조각들에 대해 상세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조각은 특히 화면 속에 등장하는 인물 모두에 대해 명문을 남겨놓았는데 이 명문의 방향과 조각의 방향은 반대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짤루끼야의 많은 사원들은 라마야나 조각을 남측에 조각하는 관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조각의 방향과 방위에 대한 기존의 관점들에 대한 해석도 함께 제시되었다. 이러한 관점이 완결된 답이라고는 할 수 없어도 차후 연구의 디딤돌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sculptural tradition of Rāmāyana in Early Western Cāḷukyan temples at Paṭṭaḍakal shows the transitional progress from the preceding Gupta period in some aspects. The Rāmāyaṇa panels carved on the outer wall of temples become larger than before and appear on the main part of the outer walls, which had been usually carved along the recess of the base molding or on the frieze of the temples. Moreover, the long narrative scenes from Rāmāyaṇa begin to appear at one small panel in which, however, the successive scenes are divided again in a few bands and compartment.
    Virūpakṣa temple at Paṭṭaḍal constructed by Lōkamahādevī, around the middle of 8th century A.D. well demonstrates the transitional changes mentioned above through the Rāmāyaṇa narrative sculptures that appear on the main body of outer walls and the pillars inside of Maṇḍapa also. This paper focus on the one single panel portrayed the most favored theme to be sculpted in Cāḷukya temples, "the abduction of Sītā by Rāvaṇa" carved on the pillar(the left 3rd from the entering) inside of Maṇḍapa of Virūpākṣa temple. The panel divided into four band raws by the horizontal lines that have the Cāḷukyan inscriptions begins its story with the scene that Śūrpaṇakhā encountered Rama and goes through the final one of the abduction of Sītā by Rāvaṇa. In this paper, the detail description of visual representation and the comparison with the Vālmīki text go for each band of the panel.
    Interestingly enough, the serial narration of the sculptures runs from the right to the left in every band raws, which is opposite to the way of writing at that time as the inscriptions of the panel show. The southern assignment of the panel in Virūpākṣa temple is also needed to be discussed because the other Cāḷukyan temples around Bādāmi, Paṭṭaḍakal and Mahākūṭa seem to share a sculptor's homogeneity in this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