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쫑카빠의 『秘密集會安立次第論註釋』에 나타난 티벳밀교의 과제 (A Subject of Tibetan Esoteric Buddhism shown on the Note of Je Tsong kha pa's Commentary on the Guhyasamaja-tantra's practice system by Nagabodhi)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09.12
32P 미리보기
쫑카빠의 『秘密集會安立次第論註釋』에 나타난 티벳밀교의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24권 / 287 ~ 318페이지
    · 저자명 : 정성준

    초록

    인도밀교의 성립사 가운데 인도후기밀교의 주류를 이룬 불교딴뜨리즘의 이론과 수행의 기초를 마련한 Jñānapada의 역할이 컸으며, 이를 다시 생기차제와 구경차제의 수행체계로 완성하는데 龍樹 수행유파가 공헌하였다. Nagabodhi는 용수유파를 계승하면서 용수류가 남긴 양차제의 성취법을 토대로 『秘密集會安立次第論』을 저술하였다. 여기서 Nagabodhi는 인도후기밀교의 정비된 수행체계로서 양차제를 다루었을 뿐 아니라, 10세기 후반에 논의되었던 딴뜨라의 다양한 논의들을 반영시켰다. 이것은 인간이 살고 있는 우주, 자연의 실체와 인간의 탄생과 죽음을 딴뜨라의 논리에 의해 보다 실증적으로 접근해보려는 시도이며, 여기에는 유심론으로 치우쳤던 대승불교의 조류에 대해 심식과 외계를 本初佛(Adi-buddha)이라는 궁극적 원리로 통일하려는 의욕도 반영되었다. 쫑카빠는 Nagabodhi의 이론들을 다양한 전거를 들어 증명하고 옹호하고 있다. 쫑카빠의 『安立次第論註釋』은 그가 『보리도차제론』과 『비밀도차제론』의 양부 대작을 저술한 다음에 이루어진 것으로 이후 티벳불교의 겔룩파의 밀교 뿐만 아니라, 티벳사회를 실질적으로 지배한 밀교의 다양한 이론들을 엿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foundation of latter period Esoteric Buddhism which were pervaded over last period of Indian Buddhism was Tantric Buddhism, which were classified into Anuttarayoga Tantra by Buston who was an eminent scholar of Tibetan Buddhism in 14th century. It is a systematic logics of Madhyamaka and Cittamatra etc. that provided Esoteric Buddhism with fine doctrinal system, so that Indian Mahayāna Buddhism and Tibetan Buddhism as its successor are equipped with dual practices and doctrines which fact enabled Tibetan Buddhism to have traditions of importing Esoteric Buddhism with careful examination of doctrinal validity.
    The practice system of latter period Esoteric Buddhism was established by many schools like Jñānapada's and Nagarjuna's sect which school's research was oriented with Guhyasamāja-tantra. The Jñānapada school left many works on Buddhist Tantras that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of Indian's latter period Esoteric Buddhism, especially the result on the Sukṣma-yoga is important as it devoted to the formation of practice system accomplishing Transit Body and Physical body into Sambhoga-kaya and Nirmana-kaya.
    It is Nagarjuna school that succeeded Jñānapada school's system and developed it a well organized system of Tantric practices. It is Nagabodhi who as a member of Nagarjuna school wrote the Commentary of Organizing Tantric Process, which work epitomized entire practice of Guhyasamāja-tantra's tradition reflecting new trends of Tantrism at that time
    Tsong kha pa who devoted to the foundation of Geluk sect of Tibetan Buddhism wrote the Commentary of Organizing Tantric Process by Nagabodhi developing his newly attended theory like on the 'Visualization of Developing Physical Mundane World', 'State of Intermediate Body after Death', and 'the Process of Reincarnation', but Tsong kha pa preserved fundamental tradition of dual practices of Generation Stage and Completion Stage.

    Keywo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