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사량의 「빛 속으로」와 김려령의 『완득이』 비교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between Kim Sa-Ryang’s “Into the Light” and Kim Lyeo-Lyeong’s “Wandeuki” – Focusing on character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7.12
35P 미리보기
김사량의 「빛 속으로」와 김려령의 『완득이』 비교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17호 / 195 ~ 229페이지
    · 저자명 : 이경재

    초록

    이 논문은 통시적인 시각에서 지금의 다문화 상황과 다문화 소설을 바라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20세기 이후 본격화 된 이주라는 큰 틀에서 다문화 소설을 조망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된다. 이 논문에서는 통합적 연구를 위한 시론적(試論的) 작업으로 한국인의 해외이주가 활발했던 일제 말기의 대표작인 김사량의 「빛 속으로」와 2000년대 다문화 소설 중에 가장 폭넓은 주목을 받은 김려령의 「완득이」를 비교해보았다. 특히 각 작품에 등장하는 중심인물들에 초점을 맞추어 비교 작업을 수행하였다. 검토 결과 두 작품은 놀라운 유사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유사성은 1939년과 2008년의 시간적 거리와 도쿄와 서울이라는 공간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식민주의의 피해자로서 이주민들이 처한 삶의 조건이 유사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두 작품에는 차이점도 존재한다. 하루오가 완득이보다 매우 강하게 조선인 어머니를 부인하는 점, 완득이의 어머니가 정순보다 자유로운 존재라는 점, 南先生이 하루오와 똑같이 민족적 차별에 직면해 있는 것과 달리 동주는 가난하고 소외된 완득이의 반대편에 위치해 있다는 점, 한베가 아들인 하루오는 물론이고 정순 역시도 고통과 어둠 속에 묶어두는 부정적 인물인 것과 달리 도정복은 완득이의 성장을 도와주는 긍정적인 인물이라는 점, 「빛 속으로」는 철저하게 일본인들로부터 배제된 조선인 혹은 혼혈인들만의 이야기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은 모두 일제 말기 재일조선인들이 겪는 차별과 억압의 정도가 2000년대 한국사회의 이주민들이 겪는 것보다 훨씬 심각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두 작품에서 이주민의 상처가 응축되어 있는 어머니에 대해서는 섬세한 고찰이 필요하다. 표면적으로 완득이 어머니는 정순에 비해 자유로운 존재이지만, 기본적으로는 고유성을 가진 주체와는 거리가 먼 하위주체에 머물기 때문이다. 이러한 완득이 어머니의 모습은 ‘차이나는 반복’으로 나타난 식민주의를 성찰하도록 이끄는 문제적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look at the present situation of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novels. These attempts originated from the intention of looking at multicultural novels in a large frame of immigration that has taken off since the 20th century. In this thesis, I compared Kim Sa-Ryang’s “Into the Light” and Kim Lyeo-Lyeong’s “Wandeuki”. In particular, I focused on the central characters in each work. As a result of comparison, the two works reveal remarkable similarities. This similarity can be said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conditions of life for migrants are similar as the victims of colonialism, despite the temporal distance between 1939 and 2008 and the spatial difference between Tokyo and Seoul. At the same time, there are differences in both works. The fact that Haruo denies the Korean mother more strongly than Wandeuki, the fact that Wandeuki's mother is also more liberal than Jeongsun, the favt that 南先生 is a similar situation to Haruo but Dongju is a different situationand, the fact “Into the Light” is the story of the mixed-bloods and Koreans excluded from the Japanese. These differences show that Korean residents in Japan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suffered more severe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than immigrants in the 2000s. However, it is necessary to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mothers with concentrated immigrant injuries in two works. On the surface, Wandeuki's mother is more free than Jeongsun's, but basically, Wandeuki's mother stays in a subaltern that is far from unique. The Wanduk mother's look is a problematic gesture that leads to reflection on the coloni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