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에서 빛의 현상학, 그 나타남에 관한 연구 (An research on the phenomenology of light in the fil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7.11
44P 미리보기
영화에서 빛의 현상학, 그 나타남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13권 / 4호 / 203 ~ 246페이지
    · 저자명 : 서정아

    초록

    본 연구는 빛의 형이상학적 사유에서 현상학적 사유로의 전이과정을 통해 영화에서 빛의 의미와 철학적 사유와의 상관관계를 고찰한다. 또한 빛에 관한 사유의 전환이 이미지의 존재방식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밝히려 한다. 영화에서 빛은 자연풍경이든 인위적인 조명이든 상징적, 드라마적, 배경효과로서의 분위기의 역할을 했으며, 무성영화부터 유성영화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화에서 빛은 형이상학적으로 사유되었다. 즉, 빛은 신성성, 초월성, 진리로, 어둠은 악, 죽음 등을 상징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사유에는 플라톤과 플로티누스의 본질론적 형이상학이 자리하고 있다. 형이상학적 사유는 빛을 존재의 근본원리로 이해하고 실체론적으로 인식함으로써 동일성의 원리에 의해 세계를 설명한다. 빛에 관한 이러한 형이상학적 사유는 영화에서 빛의 이미지의 의미화signification를 추구한다. 즉, 빛을 서사이해를 위한 재현적인 이미지로 간주하여, 통합적인 담론의 부분적인 구성요소로 편입시켜 영화이미지의 논리적, 합리적인 질서의 세계를 구축한다. 그러나 드레이어의 <오데트>(1955)는 빛을 본질론적으로 사유하여 빛의 미학처럼 빛을 신의 현현으로 인식하면서도 동시에 빛을 질료적으로 해석하여 빛에 관한 형상론적인 사유를 열고 있다. 또한 도상해석학적으로 해석할 수 없는 모순적인 의미를 빛에 부여함으로써 서사의 논리적인 의미체계에 균열을 일으킨다. 이를 통해 재현체계에 포함되지 않는 빛의 이미지의 존재방식에 대해 사유하고 있다. 아벨 페라라의 <뉴욕의 왕>은 빛을 정신적인 실체가 아니라 물질적인 질료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오데트>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러나 빛의 이미지에 본질론적인 의미를 제거하고 빛의 의미화가 아닌, 질료적인 빛의 의미생성 과정에 주목한다. 질료로서의 빛은 파장과 강도, 이동과 확산, 충만과 텅 빔, 투과성 등 물질적인 활동이며 내적 운동에 의한 움직임이다. 빛의 물질적인 내적 운동은 서사와 독립적으로 이미지들의 의미망을 생성한다. 이러한 빛의 의미생성 과정에 대한 분석의 결과는 이질적인 이미지들의 공존이다. 장르의 관습화를 따르지만 파편적 이미지들이 도상해석학적 방법으로 인물의 성격화를 형성하거나, 사건과 무관한 영화이미지의 본질(빛과 이미지의 물질적인 토대와의 관계, 이미지의 가상성)을 반성하거나, 발생할 사건을 예고하는 이미지의 잠재성(virtuel)을 일깨우거나, 인물의 공간과 신체에 투사된 빛이 존재론적 ‘분위기’를 형성하여 실존적 상황을 현시하거나 한다. 활동의 과정에 놓인 빛의 이미지는 비재현적, 질료적 이미지들을 갑작스럽게 출현시키고 서사와 독립적으로 형상체계를 구성하여 일관적, 체계적인 담론체계가 아닌 단절, 균열, 비연속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의 이질적인 존재방식을 드러낸다. 이질적인 존재방식은 단순한 공존이 아니다. 이질적인 이미지들은 서사를 보충설명하거나, 서사에 독립적이거나, 실현되지 않은 사건을 예고하거나, 은폐된 것을 드러내는 식으로 다층적으로 존재한다. 그 때문에 이질적인 이미지들의 존재방식은 규정할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이 빛의 이미지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도출된 이미지의 존재방식이며, 물질적인 이미지들이 현시하는 ‘나타남의 현상학’이다. 빛의 현상학에 관한 연구는 영화이미지의 창조적인 발생과정에 대해 끊임없이 성찰하도록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light and the philosophical thought in the film through the transition from metaphysical thought to light phenomenon. We will examine how the conversion of thinking about light affects the way of existence of images. In the movie, light has played a role as a symbolic, dramatic, and background effect, whether it is natural scenery or artificial lighting. The metaphysics of light(sacredness, transcendence, the symbol of truth) was the dominant thinking in many films, from silent films to sound movies. Plotinus’ metaphysics and the aesthetics of light in the middle age are situated in this perspective. Metaphysical thought understands light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all the phenomena that explain the world. This image of light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image for the understanding of narrative, and establishes a logical and rational ordering world as a part of meaning system of discourse. However, Dreyer’s Ordet(1955) considers light as a matter of nature and recognizes light as a manifestation of God as light aesthetics, while at the same time explaining light materially and consider a light as a figural. It also splits up the logical semantics of the narrative by imposing contradictory meanings which can not be interpreted as an iconographic method. This explains way in which images of light are not included in the film narrative. Ferrara’s King of New York(1990) reveals conversion of thinking about light in that it perceives light as a material matter, not a mental reality. Light as a material is a physical activity such as wavelength and intensity, movement and diffusion, fullness, void, and permeability, and is a process of movement. Since light is phenomenal, this research is to acquire the analyse the process of light, not semantics.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meaning reveal the coexistence of heterogeneous images : an iconographic image composed of customary images of the genre, the process of mouvement of images described irrelevant to film narratives, the virtuality of the image, the process of phenomenological(dwell, anxiety, death experience) revealed by the spatiality and planarization of light and by penetrability of light to the body. The material internal movement of light is due to the sudden appearance of non-representative and non-material elements, which can not establish a systematic and integrated discourse, resulting in discontinuity, cracking, and discontinuity. It also reveals the heterogeneous way in which images exist. The heterogeneous way of being is not just coexistence. Heterogeneous images exist in a multi-layered way by supplementing narrative narration, being independent of narrative, anticipating unrealized events, or exposing concealment. Therefore, the way in which heterogeneous images exist can not be defined. This is the way the image exists, and the ‘phenomenology of appearance’ that material images reveal. Research on the phenomenology of light leads to constant reflection on the creative process of film im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