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적 의미를 통해 본 ‘광주의 빛’ 연구- 빛을 활용한 문화행사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ight of Gwangju’ Seen in the Cultural Meaning of the Light - Focused on the Analysis of Cultural Events of the Light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4.09
14P 미리보기
문화적 의미를 통해 본 ‘광주의 빛’ 연구- 빛을 활용한 문화행사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17권 / 399 ~ 412페이지
    · 저자명 : 정윤정, 김진아

    초록

    광주의 지명에서 유래된 ‘빛고을’은 1980년대부터광주를 지칭해온 별칭이다. 이를 계기로 광주시는 광산업을 적극 진흥하기 시작했고, 빛의 모티브를 문화산업으로 확장․적용해 왔다. 특히 ‘빛’은 광주시에서최근 몇 년간 개최된 문화예술 관련 행사와 공간기획에서 독보적인 키워드로 대두되었다. 그러나 산업과문화행사를 위한 활용에 비해 그 근간이 되는 빛의의미에 대한 진지한 논의와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광주는 주로 빛의 물리적인 특징에 연계된 경제적 효과창출에 집중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광주시가 왜 빛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도시를 브랜딩하고 있으며, 광주의 빛이 과연 무엇이고 어떻게 규정되어야하는지에대한 비평적 고찰을 수행하고자 했다. 우선 빛의 과학적, 정신적, 문화적 정의와 의미를 짚어보고 광주 지명의 역사적 유래와 광산업, 5․18 운동과 관련된 빛의 개념을 추적하였다. 그리고 현재 광주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빛 관련 문화행사 중 ‘광주세계光엑스포’와‘미디어아트페스티벌’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화행사의 확산 속에서 무엇보다 필요한것은 빛의 의미에 대한 인문학적, 문화적 숙고라 간주하며, 광주의 빛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다음과같이 제안한다.
    첫째, 광주의 빛은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이 조화를이룬 융합의 형태를 지향해야한다. 둘째, 동양의 음양사상과 서양의 해체주의를 바탕으로 과학과 예술, 산업과 문화, 물질과 정신 등의 이분법적인 사고와 위계질서들에 대해 도전해가는 과정이어야 한다. 셋째, 광주의 민주, 인권 정신을 바탕으로 이를 실천하는 열린개념이어야 할 것이다.
    지역의 경제 발전이라는 목표 아래 급격하게 진행되어온 문화산업의 흐름 속에서 그동안 소외되어왔던광주의 역사와 정신을 담은 빛의 의미 및 그 표현에대한 진지한 연구와 더불어 광주가 지향해야 할 빛의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영어초록

    ‘Light Village’ was named after the place name ofGwangju and has been used as another name thatindicated Gwangju after 1980s. Emphasizing thename of ‘Light Village’, the city of Gwangju hasbeen literally and actively supporting the opticalelectronics industry in the subject of ‘light’ andstarted expanding the scope of the motif of lightinto the cultural industry.
    Especially, the light has been in a limelight as amatchless keyword in the field of cultural andartistic events and spaces for the past few years.
    However, compared to how Gwangju has beenbranding the city with the light as a majorindustry or an event, an in-depth discussion of themeaning of ‘Light of Gwangju’ is currentlysuperficially dealt with.
    This study started from an inquiry as to whatwas the origin of ‘Light Village’ in Gwangju withan awareness of an issue along with the meaningof the light in Gwangju and also why the city ofGwangju is currently branding the city by usingthe light.
    Hereup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cultural events and spaces in progress in Gwangjuand to define the identity and the meaning of thelight in Gwangju based on aforementionedconsideration of the light.
    First of all, the light of Gwangju not only is inthe form of industrial light in the perspective ofscientific technology but also pursues to the unifiedform in harmonization with cultural art. Secondly,the light of Gwangju is based on the open thoughtderived from the harmonization of yin and yangidea East Asia and also de-constructivism in theWestern world including the brightness as well asdarkness behind. Third, it is suggested to establishthe identity of the light of Gwangju in connectionwith democracy and human right as a spirit ofGwangju and also regard it as an opened conceptnot in the fixed concept and form but in therelationship.
    Therefore, it shall be a continuous course forcriticizing and removing the trends that excludedichotomous thought and an order of rank. In theflow of cultural industry of Gwangju city rapidlyaccompanied for the rapid local economicdevelopment, it is of an assignment to identify howto research and develop the light in the history andspirit of Gwangj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