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쯔빙글리와 재세례파는 적인가 동지인가? 아니면 불편한 이웃인가? 쯔빙글리의 스위스 종교개혁 500주년과 경계선상의 종교개혁 전통의 재세례파를 기념하며 (Are Anabaptists and Zwingli the Enemies or Kindreds, or Uncomfortable Neighbors? In Remembrance of Quinquecentennial of Zwingli’s Swiss Protestant Reformation and Anabaptists’ Marginal Reformed Tradit)

9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2.08
96P 미리보기
쯔빙글리와 재세례파는 적인가 동지인가? 아니면 불편한 이웃인가? 쯔빙글리의 스위스 종교개혁 500주년과 경계선상의 종교개혁 전통의 재세례파를 기념하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피어선신학논단 / 11권 / 2호 / 163 ~ 258페이지
    · 저자명 : 전대경

    초록

    본고는 스위스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며, 그 중심에 있었던 ‘제도권(magisterial) 종교개혁자 쯔빙글리와 극단적(radical) 종교개혁자 재침례파가 과연 서로 적이었는가, 동지였는가, 아니면 불편한 이웃이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국내의 관련 선행연구 약 20편, 해외의 약 100편에 대한 종합적 논평을 바탕으로한 일종의 답변이다. 표면적으로 주류 종교개혁가들과 재침례파사이의 갈등은 국가관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유아) 세례(洗 禮, aspersion baptism)와 (성인) 침례(浸禮, immersion baptism)를 두고 촉발된 것이었다.
    재침례파는 1525년 스위스 취리히의 쯔빙글리 품에서 탄생했다. 재침례파 운동은 합리주의, 신비주의, 영성주의, 혁명주의등의 다양한 형태로 우후죽순처럼 일어났다. 물론, 헤롤드 벤더(Harold S. Bender)처럼, 영성주의자들이나 토마스 뮌처 같은 혁명주의자들을 재침례파 역사로부터 구분하고 도려내려는 노력을하는 침례교 학자들도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재침례주의운동은 루터와 쯔빙글리가 종교개혁을 일으켰던 초심(original vision)을 가장 철저히 따르면서 그것을 그대로 완수하고자 했던종교개혁 운동이었다는 것이다.
    16세기에 발생한 재침례파 운동의 영향이 교회와 사회에 적지 않았음에도, 이 운동에 대한 연구는 다소 소홀했거나 양극단으로 편향된 측면이 없지 않았다. 한 편에서는 루터, 칼빈, 쯔빙글리 등의 후기 견해를 그대로 따르는 학자들로부터 일방적으로주입된 (재침례파를 이단적이라고 정죄하는) 부정적 선입견이다.
    근래에 이 입장 내에서 재침례파 운동의 긍정적인 면을 찾아내려는 움직임들이 있음은 그나마 다행이라고 본다. 하지만 재침례파(혹은 침례교) 내부에서는 주류 종교개혁가들로부터 열광주의자들이라고 불렸던 자신들의 영적 조상들 중 대부분을 재침례파 역사로부터 도려내려는 노력을 해왔다. 그리고 비열광주의적이었던 나머지 재침례파들의 활동을 지나치게 미화시킴으로써주류 종교개혁자들(루터, 칼빈, 쯔빙글리 등)이 재침례파 전체를반대한 당시 이들의 입장과 고민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
    2000년대에 들어 국내에 재세례파(혹은 재침례파)와 관련된균형 있는 선행연구가 이미 적지 않게 이루어졌다. 하지만, (16 세기 당시 수십개의 재침례파 그룹들에 대한) 구분과 비구분 사이에서 아직 좁혀지지 않는 시각차가 보인다. 특별히 재침례파의 성령세례주의와 오늘날의 오순절주의에 대한 유사성과 연결성과 관련하여 다룬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찾아보지 못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소고가 교회의 발전을 위한 나름의 독창성과의의가 있다 하겠다.
    이러한 정황 속에서, 본 소고는 먼저 종교개혁과 함께 시작된주류 종교개혁자들과 동지로서의 재침례파를 다룬다. 그런 다음, 유아세례를 지지하는 제도적 종교개혁파와 성인침례를 지지하는급진적 재침례파 간의 ‘적으로서의 갈등’을 다룬다. 다음으로, 온건한 재침례파와 급진적 성령세례파, 그리고 주류 종교개혁자들사이에서 그리고 그 후손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불편한 이웃으로서의 관계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경계선상의 종교개혁 전통으로서의 재침례파 운동을 다룬다. 규명하려는 것은 ‘재침례파 운동은 오늘날의 침례교적 성격과 오순절적 성격을 모두 가진 그룹들이었으며 이들은 종교개혁의 좌측과 우측 극단에서 경계선을 담당했던 종교개혁 전통 기독교 공동체였다.’라는 것이다.

    영어초록

    In remembrance of the Quinquecentennial of Swiss Protestant Reformation, at the bottom of this paper the question lies: Were Zwingli, the swiss magisterial reformer, and Anabaptists, the radical reformers, enemies or kindreds, or uncomfortable neighbors? In order for a comprehensive answer for the question in this paper, about 120 precedent anabaptist-related studies have been reviewed. Externally, the conflict, which was deeply rooted to their different views on the nation-state, between the mainstream reformers and the anabaptists was sparked over the forms of baptism: infant aspersion baptism and adult (believer’s) immersion baptism. The Anabaptists were born in 1525 in Zurich, Switzerland, in the bosom of Zwingli. The Anabaptist movement has sprung up in various forms such as rationalism, mysticism, spiritualism, revolutionism and so forth. Of course, there are baptist scholars, like Harold S. Bender, who try to separate and cut out spiritualists and revolutionists such as Thomas Müncher from Anabaptist history.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Anabaptist movement was a Reformation movement that most thoroughly followed the original vision of Luther and Zwingli and wanted to accomplish it.
    Although the impact of the Anabaptist movement that occurred in the 16th century on the church and society was not ignorable, researching on this movement has been somewhat neglected or biased toward two extremes. On the one extreme, it is a negative prejudice (which condemns the Anabaptists as heretical) unilaterally injected by scholars who follow the latter views of Luther, Calvin, and Zwingli. I think it is fortunate that there are recent movements to find the positive side of the Anabaptist movement. On the other extreme, however, within the Anabaptists (or Baptist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move from Anabaptist history most of their spiritual ancestors, who were called zealots by the mainstream Reformers. By overly glorifying the activities of the rest of the Anabaptists, who were non-enthusiastic, they do not fully consider the positions and concerns of the mainstream Reformers, such as Luther, Calvin, Zwingli, etc., at the time when they opposed the entire Anabaptists. In the 2000s, a number of balanced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the Anabaptists have already been made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still an unresolved differences in the taxonomical divisions for dozens of Anabaptist groups at the time of the 16th century.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no studies found in South Korea on the similarity and connection between the Anabaptists’ Spiritual Baptism and today’s Pentecostalism.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has its own originality and significa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urch.
    With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first deals with the Anabaptists as kindreds of the mainstream Reformers, as they started the Reformation together. Then, the “conflict as the enemies” is dealt with between the magisterial Reformers, who rejected adult anabaptism, and the radical Anabaptists, who denied infant baptism.
    Next, it deals with the uncomfortable neighbors' relationship found between the moderate Anabaptists, the radical spiritual Baptists and the mainstream Reformers, and between their descendants. Finally, it deals with the Anabaptist movement as a marginal Reformed tradition. It is to clarify that the Anabaptist movement was a group with both Baptist and Pentecostal characteristics today, and these were the Christian communities of the Reformation tradition that took charge of the borderlin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xtremes of the Re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