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구전서사 속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신경증 탐색 -<월경혈 묻은 빗자루가 도깨비로 변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Neurotic Symptom of a Feminine Sexuality in Oral Narratives -The Analysis of the Story of a Broom Stick Having the Blood of Menstruation Turning into a Specter-)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2.12
45P 미리보기
한국 구전서사 속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신경증 탐색 -&lt;월경혈 묻은 빗자루가 도깨비로 변하는 이야기&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5호 / 45 ~ 89페이지
    · 저자명 : 김영희

    초록

    월경(月經)은 ‘여성’이라는 젠더정체성 형성의 가장 기저에 놓여 있는 사건으로, 월경의 입사적 의미는 ‘생산 능력을 지닌 여성 주체로의 거듭남’과 ‘남성의 성적(性的)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요소를 완비한 여성으로의 완성’에 있다. 여성 섹슈얼리티의 핵심을 구성하는 이 ‘생산 능력’과 ‘성적 매력’은 흔히 양가적(兩價的) 이미지로 재현된다.
    이 글에서 주목한, ‘여성이 깔고 앉은 빗자루에 월경혈이 묻어 그 빗자루가 도깨비로 화했다’는 내용의 이야기는 여성 섹슈얼리티의 양가적 이미지와 함께 이것이 여성 섹슈얼리티에 관한 규범 담론으로 기능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해당 이야기의 서사 층위에서 ‘월경혈’은 도깨비와 함께 여성 섹슈얼리티에 내재한 신성성을 표상한다. 그러나 연행 층위에서 이것은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부정하거나 통제하는 행위 규범을 지시하고 정당화하는 기제로 활용된다.
    ‘몸엣것’으로서 월경은 여성의 몸 밖으로 배출된 것이지만 여성의 몸 그 자체다. 여성 섹슈얼리티의 핵심 관건으로서, 수치와 기피, 혐오와 배제의 대상이지만 생산 주체로서 여성 능력과 소명의 핵심부를 구성하는 사건이기에 절대로 버려져서도 안 되고 버릴 수도 없는 대상인 것이다. 버려진 상태로 여성의 몸 깊숙이, 여성 섹슈얼리티의 핵심부에 들어와 있다는 점에서 월경은 비체화된(abjected) 대상이다. 비체화된 대상이 몸 안에 들어와 있고 애도할 길 없는 상실의 대상이 자아로 합체되어 있듯이, 여성 섹슈얼리티는 거부된 채로 여성 젠더정체성의 핵심 자리에 끼어들어가 있다. 이 우울이 ‘월경’에 대한 신경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수치와 죄의식 속에 여성 섹슈얼리티를 경험하면서 자기 억압적이고 자기 훈육적인 폐쇄 회로에 갇혀 버린 여성 주체에게 비체화된 몸은 자기 상실과 우울을 심화하는 공간인 동시에 기제다. 비체화된 대상으로서 월경은 여성 주체의 우울을 보여주는 표상인 동시에 이와 같은 방식으로만 주체화될 수 있는 여성 주체의 탄생 과정을 상징한다. 여성은 이처럼 자신의 섹슈얼리티를 부정하고 비난하며 이를 수치의 대상으로 여기며 영원히 알 수 없는 모호한 미지 영역으로 남겨두라는 젠더 권력의 명령에 복종하며 이것이 지시하는 젠더 규범에 순응하는 한에서 사회적 주체로 호명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구전서사의 연행과 전승이 여성의 몸과 섹슈얼리티에 대한 규율 담론을 생산, 강화하거나 확대․재생산하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부류의 구전서사 연행에서 여성 연행자들은 자신의 섹슈얼리티를 긍정하거나 적극적으로 향유하는 태도를 드러내기도 한다.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통제나 억압의 기획이 좌절되거나 엉뚱한 방향으로 수행되기도 하는 것이다. 서사와 연행 층위 사이의 길항과 이와 같은 규범 담론의 어긋난 수행은 구전서사를 매개로 한 젠더화 전략의 균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탈주적 가능성을 예고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performance of the oral- narrative dealing with a feminine sexuality and a feminine bo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can ascertain facts that the performance effects producing the gendered subject by regulating the gendered body and sexuality and the discipline discourse of the negation and the disgust of female sexuality.
    The story is that the stick has turned into a korean traditional specter, Dokkaebi, after a woman having her period sat on a broom stick in front of the furnace. In some stories the specter changes into a beautiful young female and she lures a male using her sexual charm. Most of the stories is performed by a female subject or a feminine community. Feminine performers considers the event of transformation into a specter as an unlucky and ominous result and they think female's carelessness, that she was sitting on a broom stick during her menstrual cycle, brings about the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se oral-narratives produces the effect of the negation and the disgust of female sexuality. It presents female subject's neurosis and melancholy, for it means that she denies her own sexuality herself. So some oral narratives of menstruation acts on a female subject gendered as discipline discourse of sexuality.
    While the scenario of identity based on the gender-identity constitut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orally transmitted stories, the performance of those stories acts out a scene in which the old self dies away to be reborn into a new one who is recognized by the community, which hence resembles an initiation. The subject of the performance goes through a process of assimilation and adaptation in which s/he obeys and internalizes the norms and value systems of the gender community voluntarily.
    If the performance of orally transmitted stories is a process of accomplishing the sense of identity, and the repeated practice of such accomplishment is a formation process of a member of the community. From this point, it can be noted that the effect and action of the story performance inspires the subject of the performance to involve him/herself voluntarily in the boundary of the community, and this can be claimed as the power of story.
    In this study, the oral narratives categorized as discipline discourse of feminine sexuality have concerned the gender norms and power regulating a feminine sexuality and a feminine body. Female subject who perform the oral-narratives is participating on her own initiative in the gendered strategy to be given body by effect of the discourse and is flighting from it at the same tim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