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촌 빈집 연결 서비스 디자인의 활용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ing Direction of Connection Service Design for Empty Houses in the Rural Area)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3.02
10P 미리보기
농촌 빈집 연결 서비스 디자인의 활용 방향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1호 / 303 ~ 312페이지
    · 저자명 : 한규원, 장영호, 정재희, 김주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2021년 전국의 빈집은 140만 호에 달하고, 귀농·귀촌 인구도 51만 명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있다. 그러나 귀농·귀촌인 45% 이상이 원주민과 갈등을 겪고 급기야 역귀농·역귀촌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빈집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귀농·귀촌인과 원주민 사이의 오해를 해소하여 성공적인 농촌 정착을 활성화하는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문헌 연구를 통해 빈집 현황, 귀농·귀촌 인구 현황, 빈집 활용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고, 현재 빈집을 활용한 귀농·귀촌의 문제점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빈집의 수요와 공급을 중심으로 구성한 이해관계자(30~60대) 남녀 총 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다.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페르소나를 도출하고 고객여정지도를 작성한 후, 빈집 임대와 매매에 핵심적인 이슈 사항을 도출하여 디자인 테마를 선정한다. 해당 디자인 테마를 중심으로 디자인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아이디에이션 워크숍(ideation workshop)을 진행하고 디자인 콘셉트를 도출한 후, 이해관계자를 통한실증적인 디자인 검증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추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면서 결론을 마무리한다. (결과) 본 연구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귀농·귀촌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6명의 이해관계자를 통하여 디자인 검증을 진행하였다. 먼저 지역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그 마을의 문화를 이해하고 귀농·귀촌한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지역 특화 문화를 알리는 데도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직접 현장에 찾아가지 않고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미리 적정 예산을 계획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서비스가 도움이 될 것 같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워킹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실험을 진행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귀농·귀촌을 결심하고 빈집을 구하는 상황에서 실제로 프로토타입 테스트를 진행하였다면, 최종 결과물을 좀 더 현실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콘셉트로 제안하였지만, 추후본 연구를 기반으로 공공영역에서 실제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빈집 거래가 활성화되고 농촌 빈집 문제와 수도권 집중형 도시문제가 해결됨과 동시에 역귀농·역귀촌 현상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2021, 1.4 million houses were vacant nationwide, and the number of people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areas is continuously increasing, reaching more than 510,000. However, over 45% of those who return to farming or rural areas have conflicts with the local population, eventually choosing the reverse of farming and rural area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service to revitalize successful settlements in rural areas by resolving misunderstandings between returnees and the native population via the process of connecting people to vacant houses. (Metho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empty house utilization and rural populations from home and abroad are explored, as well as the challenges people face when returning to rural areas and utilizing empty houses. Based on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six male and female stakeholders in the empty house market.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a persona was derived, a customer itinerary map was prepared, and a design theme was then selected by obtaining key issues for renting and selling empty houses. An ideation workshop with ten design experts focusing on the theme of design was held, and design verification was conducted for stakeholders after deriving the design concepts. Finally, we conclude the research by present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Results) Design verification was conducted with six stakeholders to engage in smooth communication and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to users who are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areas through mobile applications. First,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providing local information would not only help them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village and form good relationships with people who had returned to farming or rural areas but also to help promote a specialized local culture.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noted that this service is likely to be helpful in that specific and practical information can be verified without requiring an in-person visit to the site, and an appropriate budget can be planned in advance. (Conclusions) This study was limited in that it was not conducted by producing a working prototype. If the prototype test had actually been conducted by urban-to-rural returners who had decided to reverse farming and rural areas and were looking for empty houses, the final results could have been verified more realistically. This study was proposed as a service concept, but based on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vacant house transactions will be activated in the public sector, vacant rural houses and metropolitan-based urban problems will be solved, and the reverse of farming and rural areas will be preven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