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英祖의 生母 淑嬪 崔氏의 喪葬禮 - 『戊戌苫次日記』를 중심으로 - (On the funeral of Concubine Sukbin(淑嬪), the mother of King Yeongjo(英祖) - mainly focused on the diary of the funeral(戊戌苫次日記) in 1718)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0.03
35P 미리보기
英祖의 生母 淑嬪 崔氏의 喪葬禮 - 『戊戌苫次日記』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52호 / 89 ~ 123페이지
    · 저자명 : 이영춘

    초록

    英祖(재위 1724~1776)는 蕩平策과 均役法의 시행으로 정치․사회적 안정을 가져오고, 『續大典』과 『續五禮儀』 등을 편찬하여 제도 문물을 재정비하였으며, 많은 官撰書를 출판하고 학문에 힘써 문예부흥을 진작하였다. 그러나 1762년의 壬午禍變으로 인한 時․辟派의 대립 갈등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英祖의 치세를 연구하는데는 그의 개인적인 心性이나 정서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다. 영조의 인격 형성에는 생모 淑嬪 崔氏(1670~1718)에 대한 情恨과 庶子로서의 신분적 열등감이 큰 영향을 미쳤다.
    1718년 3~5월의 淑嬪 喪中에 延礽君(英祖의 王子 시절 封爵)이 작성한 『戊戌苫次日記』에는 後宮과 庶子라는 신분적 제약 속에 살았던 모자간의 情恨과 비통함이 잘 나타나 있다. 『戊戌苫次日記』는 조선후기 後宮의 喪禮를 보여주는 희귀한 문헌이기도 하지만, 영조의 개인적 인성과 정서를 이해하는데도 요긴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 일기를 중심으로 하여 淑嬪 喪葬禮의 의례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표출되고 있는 영조의 정서적 측면을 고찰해 보았다.
    淑嬪 崔氏는 빈한한 무반 가문에서 태어나 3~4살에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되었다가 7살에 무수리로 궁중에 투탁되었으나, 숙종의 承恩을 입어 1693년(숙종 19)에 後宮(淑媛)으로 봉작되었다. 이후 延礽君 등 3명의 王子를 나아 肅宗의 총애를 받았다. 淑嬪은 1718년(숙종 44) 3월에 卒逝하여 延礽君이 喪主로서 執喪하였고, 그 과정을 日記로 기록하였다. 1724년 왕위에 오른 英祖는 다음해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생모를 崇奉하는 사업을 하였다.
    淑嬪의 喪禮는 후궁이라는 신분 때문에 많은 제약이 따랐고, 이것이 延礽君에게 깊은 상처를 주었다. 延礽君은 庶子였기 때문에 生母를 위하여 被髮과 衰服을 하지 못하고, 喪期도 卒哭까지로 단축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그는 경황이 없는 중에 被髮과 衰服을 하여 肅宗의 문책을 받았다. 그는 葬地를 구하는데도 肅宗의 견제를 받아 어려움을 겪었고, 喪中에 자신의 어린 딸이 죽어 비통함을 더하였다. 이러한 사정들이 이 日記의 행간에 잘 드러나고 있다.
    淑嬪의 喪禮는 대체로 『家禮』와 『喪禮備要』에 따라 집행되어 왕자의 私家禮처럼 진행되었고, 喪期가 극히 짧았다. 脫喪은 延礽君의 起復이라는 절차에 의해 장례 후 10일만에 이루어 졌다. 喪禮의 집행에는 궁중에서 파견된 內侍와 宮女들 및 宗親과 외척들이 참가하였고, 일반 文武官들은 거의 弔問이나 賻儀를 하지 않았다. 상․장례에 소요되는 집기나 물품들은 대부분 宮中이나 官衙에서 지급되었고, 行喪과 山役에는 부근 각 고을의 軍士 혹은 일꾼들이 동원되었다. 이러한 점들은 後宮의 喪禮에 공적인 성격과 사적인 성격들이 혼재되어 있었던 것을 말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King Yeongjo(英祖) was a very important king in the late Choseon dynasty, who unified and stabilized the political society, rearranged the systems of the law and regulations and motivated the cultural renaissance in 18th century. But he committed some faults as to execute his only son in 1762, which gave rise the political party dispute to divide the government in the long run. There were some individual problems in his character, a kind of mental complex, which was rooted to a strong sympathy for his mother Sukbin(淑嬪), a concubine of King Sukjong, and a inferiority of himself to be the concubine‘s son. It would be necessary for us to realize his individual characters and mentality to study the full history of his reign.
    King Yeongjo wrote a diary of the funeral(『戊戌苫次日記』) for his mother in 1718 when he was a young prince named Yeoninggun(延礽君). In this diary, we can see all the process of the funeral of a royal concubine as well as observe the mental agony of the young prince during the painful funeral.
    Though the funeral was carried out as a royal ceremony, it was very restricted because of the social position of the concubine and his son. Prince Yeoninggun could neither wear the mourner's clothes nor keep the period of two years' mourning for his mother. According to the Confucian funeral rite, the sons should wear the mourner's clothes for two years for their parents. But the prince born from a concubine could not do that because of the authority of the king father. In the funeral, Prince Yeoninggun was misled to wear the mourner's clothes, which caused to be blamed by King Sukjong. He also suffered to get the burial ground which should be good in oriental geographical perspective. He reserved the burial ground for four times, none of which was permitted to take by the king father. At last he got a place which was located in a province far from Seoul. He also was not allowed to mourn for a long time for his mother. He had to come back to his work as a prince as soon as he buried his mother. His agony was added when his young daughter was dead in the funeral period, really a hard time. In this diary we can read a bit of his mental complex which was estimated to influence his long reign from 1724 to 1776.
    The royal funeral of the concubine was carried out mainly according to the Zhu Xi(朱熹)'s Family Rites(家禮) for the gentry class, which meant not to be an official funeral but a private one of the prince's family. So there were neither an official condolence of the government nor those of the individual ministers and high officials according to the proper forms. The funeral and the mourning was over shortly in 3 months, otherwise it would be done properly in two years.
    The funeral was managed by the royal relatives and the court servants & maids, excluding the government officials. But the funeral ceremony itself was held luxuriously and expensively. The finance and the supplies were funded and supported from the government and the court. So we can say the royal funeral of the concubine had the dual characters of privacy and publ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