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국제뉴스의 아프리카 보도 지형: 빅카인즈를 이용한 토픽모델링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overage of Africa in Korea- Focusing on Topic Modeling with News Big Data Analytics Bigkind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2.12
38P 미리보기
한국 국제뉴스의 아프리카 보도 지형: 빅카인즈를 이용한 토픽모델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프리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아프리카 학회지 / 67권 / 157 ~ 194페이지
    · 저자명 : 이은별

    초록

    이 연구는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인 빅카인즈를 활용하여 한국 언론의 아프리카 관련 보도 방식과 그에 따른 국제뉴스 리터러시의 필요성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1990년 1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 전국 일간지와 방송사의 국제뉴스에서 아프리카 55개국을 보도한 기사를 국가별로 수집하여 보도량이 많은 상위 8개 국가(남아공, 나이지리아, 수단, 케냐, 이집트, 에티오피아, 리비아, 소말리아)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사에 등장한 주요 키워드와 의제 유형을 토픽모델링 분석한 결과, 국가마다 각기 다른 토픽 수와 주제가 나타났다. 대체로 미국과 중국 중심의 대(對)아프리카 외교정책, 한국과의 외교 관계, 아프리카 역내에서 인접 국가 간 난민과 테러 문제, 감염병에 대응하는 방식에 관한 보도로 유형화되었다. 이러한 보도 방식을 통해 첫째, 양대 패권국인 미국과 중국 간 힘겨루기의 각축장이 된 아프리카의 국제정치적 상황을 확인하였다. 둘째, 식민지 독립 후에도 지속되는 유럽 강대국의 이권 개입은 은폐한 채 이로써 파생된 내전과 빈곤 같은 위기 상황을 부각하였다. 결과적으로 편향된 국제뉴스로 인해 국가별 정체성은 사라지고,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이미지만 남아 ‘아프리카성’을 형성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news reporting on Africa and the need for international news literacy using Big Kinds, a news big data analysis system. First of all, Korean international news reports covering 55 African countries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1990 to August 31, 2022 and the top eight countries (South Africa, Nigeria, Sudan, Kenya, Egypt, Ethiopia, Libya, and Somalia) were select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keywords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he number of topics and agendas was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In general, it was categorized as a report on the U.S.-China-centered foreign policy against Africa, diplomatic relations with South Korea, refugees and terrorism among neighboring countries in Africa, and how to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s. Accordingly, first, Africa has become a venue for a power struggle between the U.S. and China, the two major hegemonic powers. Second, the civil war and crises such as poverty in Africa were highlighted concealing the intervention of European powers which continued even after colonial independence. As a result, due to biased international news, the identity of each country was replaced with a one-sided image representing Africa remained to form 'African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아프리카 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