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아리스토텔레스적 연극미학 (Ⅰ) : 감정이입에서 능동적인 소통으로 (Non-Aristotelian Aesthetics of Theater (Ⅰ) : From Empathy to Active Communicati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1.06
34P 미리보기
비아리스토텔레스적 연극미학 (Ⅰ) : 감정이입에서 능동적인 소통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33권 / 143 ~ 176페이지
    · 저자명 : 원준식

    초록

    19세기까지 서양 연극사의 주된 흐름은 아리스토텔레스적 연극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카타르시스를 비극의 목적으로 규정하는데, 그것은 감정이입을 전제로 해서만 가능한 것이다. 즉, 관객들은 감정이입을 통해 등장인물에 몰입함으로써 주인공이 겪는 상황을 자신의 일로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감정이입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대 위에서 행해지고 있는 것이 연극이 아니라 마치 현실인 것처럼 보여야 한다. 감정이입과 이를 위한 극적 환상이 바로 아리스토텔레스적 연극의 본질이며, 19세기까지 서양 연극사는 이러한 극적 환상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전통적인 연극이 감정이입을 목적으로 극적 환상에 치중함으로써 관객의 비판적 의식을 저해한다고 생각했다. 즉, 관객들이 감정이입을 통해 등장인물의 지각과 감정, 인식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그가 요구한 것은 관객이 극중에서 진행되는 사건에 대해 수동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이고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는 관객의 감정이 아닌 이성에 호소해야 하는데, 무대 위의 사건이 현실이 아니라 연극임을 분명히 보여줌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극에 몰입하는 대신 그로부터 비판적인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그의 서사극은 생소화 효과를 통해 극적 환상을 파괴함으로써 관객의 감정이 아닌 이성에 호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적 연극에서 관객들이 생각하고 행동할 권한을 무대에 위임한 채 수동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과는 달리, 브레히트의 관객들은 생각할 권한을 부여받는다. 그러나 행동의 권한은 여전히 무대에 위임한 상태이기 때문에, 연극에서의 경험은 의식의 수준에서 나타날 뿐 행동의 수준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보알의 ‘억압받는 사람들의 연극’은 생각할 권한뿐만 아니라 행동할 권한도 관객들이 갖도록 한다. 즉, 관객들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관객을 더 이상 공연의 대상이 아니라 그 주체가 되게끔 하는 것으로, 연극을 통해 사유와 행동의 능력을 복원함으로써 그들이 현실에서도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게끔 하려는 것이다. 그에게 있어, 연극은 현실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일종의 예행연습이다.
    브레히트와 보알에게 있어, 연극은 감정의 세척장이 아니라, 현실의 문제를 소통하는 하나의 장(場)이었다. 그리고 그 안에서 그들은 관객을 연극의 객체에서 소통의 주체로 전환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브레히트에게 있어 그러한 소통이 의식의 차원에 제한되어 있었던 데 반해, 보알은 그것을 행위의 차원으로까지 확장시킴으로써 배우와 관객 사이의 구분을 철폐하고자 한다. 무대와 객석 사이의 소통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그의 ‘억압받는 사람들의 연극’은 적어도 지금까지의 서양 연극사에서는 가장 민주적인 형태의 연극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Up to the 19th century, the main stream in the history of the western theater has been the aristotelian. In Poetics Aristotle defined catharsis as the aim of the tragedy, and it sets empathy forth as a premise. By virtue of the empathy, the spectator experiences the circumstances of the dramatic characters as his own. To make the spectator to easily identify himself with the character, the happenings on the stage need to look like a reality, not a fiction. This theatrical illusion is the essence of the aristotelian theater, and western theater has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reinforcing the illusion until the 19th century.
    Bertolt Brecht thought that the traditional theater hindered the spectator in his critical thought. According to him, in the theater pursuing empathy and theatrical illusion the spectator uncritically accepts the character’s perception, emotion and understanding. He wanted that the spectator took an active and critical stand instead of a passive attitude on the incident on the stage. Thus his epic theater aims at destroying the theatrical illusion through Verfremdungseffekt, and so appealing not to the spectator’s emotion but to his reason.
    In the aristotelian theater, the spectator delegates power to the dramatic character so that the latter may think and act in his place. Differently from him, Brecht’s spectator has the right to think for himself, but still delegates power to act to the character. So his experience is revealing on the level of consciousness, but not globally on the level of the action. In Augusto Boal’s theater of the oppressed, on the contrary, the spectator no longer delegates power to the characters either to think or to act in his place: he thinks and acts for himself. He is no longer an object of the theater, but becomes a subject of it. The aim of the theater of the oppressed is for the spectator to recover ability to think and to act through the theater, so to ready him for a subject of his real life. In this respect, the theater is a rehearsal of reality.
    For Brecht and Boal, the theater was not a laundry of emotion but a field for communication. And in it they tried to change the spectator from an object of the theater to a subject of the communication. For Brecht the communication was restricted to the level of consciousness, but Boal extended it to the level of action and so intended to abolish the distinction between actor and spectator. Consequently, his theater of the oppressed, in the respect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stage and audience, is the most democratic form of theater in the history of western theater up to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