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교인식론에 있어 비인식(anupalabdhi) 이론의 전개(Ⅰ) (A development on Anupalabdhi-theory in the Buddhist Epistemology and Logic(Ⅰ))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8.06
26P 미리보기
불교인식론에 있어 비인식(anupalabdhi) 이론의 전개(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4호 / 159 ~ 184페이지
    · 저자명 : 박대용

    초록

    5세기 디그나가로부터 출발한 고전인도 불교 인식론․논리학은 7세기 다르마끼르띠에 이르러 더욱 정교히 계발되었고, 다르마끼르띠 이후 한 동안 타 학파들로부터 반론이 제기되지 않을 만큼 완벽한 고전인도 인식논리학 체계를 확립시켰다. 특히 다르마끼르띠의 스승인 이슈바라세나는 자신의 스승 디그나가의 ‘인(因)의 삼상(三相)’에 증익하여 ‘인(因)의 육상(六相)’을 제시했다. 그는 스승 디그나가의 세 가지 논리적 증인만으로는 ‘단순 비지각’(adarśanamātra)을 통한 부정적 추리를 완벽히 입증해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후 다르마끼르띠는 스승 이슈바라세나에 의해 논증된 ‘단순 비지각’에 대한 논증을 공격하지만, 이류예(異類例)의 비인식을 제시한 디그나가의 PSV ad PS V 34를 직접적으로 인용도 힐난도 하지 않고, 우회적 방법으로 ‘단순 비지각’의 부정적 추리를 보완해 나간다. 왜 그렇게 했을까? 이것이 이 논문을 풀어가는 헝클어진 실타래의 단서이다. 하지만 불행히도 우리에게는 이슈바라세나와 관련된 자료가 거의 없다. 단지 그의 제자 다르마끼르띠의 논서에서 발견되는 약간의 인용문에 의존해 추측할 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비인식’(anupalabdhi)에 관한 ‘부정적 추리’ 전반을 불교인식론에서는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개관해 보고, 나아가 디그나가, 이슈바라세나 그리고 다르마끼르띠로 계승되는 ‘비인식’과 ‘단순 비지각’의 논리적 난제에 대한 해결책을 그들이 각기 어떻게 상호 보완·발전시켜 나아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main aim of this essay is explanation of close correlation between Dignāga(ca.480-540), Īśvarasena(ca.570-630) and Dharmakīrti(ca.600-660) on the Ancient Indian Buddhist epistemology & logic according to the theory of ‘non-cognition’(anupalabdhi) and ‘mere non-perception’(adarśanamātra). All of them were each other mutual relations between masters and disciples, who had definitively influenced on their systems of logic. Unfortunately, Īśvarasena, who one of them, has been not yet hitherto well known to us because most of his works were evanesced at least before Bu-ston(ca.12c. a Tibetan historian)’s lifetime. Nevertheless we might be suppose to a bit his system of the logic, namely, ‘six characters of the logical reasons’(hence, ṣaḍlakṣanohetu) being written at the end of Dharmakīrti's Hetubindu. Thereforce, I would present to take their main systems of the Buddhist epistemology & logic. Especially, focusing on the theory of adrśanamātra, in terms, that is, Dignāga’s trairūpya ⟶ Īśvarasena’s ṣaḍlakṣanohetu ⟶ Dharmakīrti’s svabhāvapratibandha of anupalabdhi. This facts, which, base on thoroughly studies above-mentioned, enable us to establish a negative inference of non-perception as means of the valid pramāṇa.
    Finally, in my opinion, that three buddist philosophers, who had present most powerful thoughts in formation of Indian Buddhist epistemology and logic, struggled with this problem of anupalabdhi to offer a solution to the contradiction between Buddha's foundational doctrine(anātman) and the kind of nominal existence (upādāyaprajñapt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