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의 근대불교학 형성과 대승 비불설(非佛說) 문제* ―아네자키 마사하루(姉崎正治)와 무라카미 센쇼(村上專精)의 비교― (Modern Buddhist Study and The Concepts of Mahayana Considered Heterodoxy in Japan ―As Compared Anejaki Masaharu(姉崎正治) with Murakami Sensho(村上專精)―)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09.02
42P 미리보기
일본의 근대불교학 형성과 대승 비불설(非佛說) 문제* ―아네자키 마사하루(姉崎正治)와 무라카미 센쇼(村上專精)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30호 / 214 ~ 255페이지
    · 저자명 : 조승미

    초록

    대승 비불설(非佛說), 즉 ‘대승경전은 불설이 아니라’라는 주장은 메이지시기 불교학이 근대 학문으로 정립되어가면서 대두된 주제였다. 이것을 주장한 대표적인 학자는 도쿄제국대학 문과대학 강사들이었던 무라카미 센쇼(村上專精)와 아네자키 마사하루(姉崎正治)였는데 이들의 입장차이와 그 논리전개를 통해 메이지 시대 일본불교학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며, 이와 아울러 ‘서구 근대’불교학의 문제점을 검토해 보았다.
    아네자키의 일련의 불교관련 저서 『불교성전사론』(1899),『현신불과 법신불』(1901), 『근본불교』(1910)는 그가 서구 불교학의 관점을 수용함에 따라 불교관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준다. 즉, 실증주의 역사관과 성서비평의 과학적인 입장에서 대승불설이 비판되었으며, 불교의 ‘원천’을 규명하고자 하는 불교문헌학은 ‘사료’로서 부정확한 대승불교를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근본불교’에서는 붓다의 인격을 중심으로 재편한 신앙에 대승불교가 소멸되어 있다. 한편, 근대불교학의 고찰에서 잘 조명되지 않았던 이노우에 테츠지로의 동양철학으로서의 서구 인도철학은 아네자키의 서구 수용적 불교학의 배경이 되었다.
    무라카미 센쇼의 불교학은 전통불교의 근대적 재편으로 평가되는데 그의 서구 수용에 영향을 미친 것은 이노우에 엔뇨와 난죠분유였다. 그런데 그의 서구 수용은 항상 제한적이었는데, 인간이상의 붓다와 개발적 불교로서의 대승신앙 등이 그것이었다. 그의 『불교통일론』(1901)에서의 대승 비불설은 근대역사주의의 우위에서 전통신앙 영역을 포섭하는 것이었는데, 이후 『대승불설론 비판』(1903)에서는 역사를 신앙의 대칭축으로 배치하는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그가 서구 과학주의 눈이 현실불교를 폄하하는 데에 대한 저항이었다. 따라서 그의 ‘불완전한’ 불교학은 근대불교학의 태생적 한계라고 할 수 있는 불교의 타자화문제에 의구심을 던진 것으로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아네자키와 무라카미의 불교학은 메이지시대를 반영하면서 동시에 현대불교학에 그 영향을 남기고 있는데, 즉, 이들은 각각 불교를 순수와 타락으로 보는 관점과 발전과 일관으로 읽는 관점을 제안했는데 이러한 이질적인 시선의 공존과 함께 신앙과 역사의 문제, 서구불교학의 타자화 문제 등은 현대불교학의 과제로 남겨졌다. .

    영어초록

    The concepts of Mahayana considered heterodoxy was important issue of Japanese buddhist study in Meiji Period. The representative advocate of this theory were Anejaki Masaharu(姉崎正治, 1873~1949) and Murakami Sensho(村上專精, 1851~1929) who were scholars of Tokyo Imperial University. But, they had different viewpoint respectively.
    Anejaki Masaharu has criticized orthodoxy of Mahayana buddhism from a view of biblical criticism and historic science that was the principal methodo- logy of western buddhist study. He could be said to be a perfect type of modernist.
    The other side, Murakami Sensho threw doubt on western style buddhist methodology, because it show contempt to Japanese buddhist thoughts and culture based on Mahayana buddhism. So, he approved the concept of Mahayana considered heterodoxy only in the field of history, disapproved it in the province of religious belief. He accepted, so to speak limitedly the modernity of buddhist study.
    The divergence of opinion like this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Japanese buddhist study, that is the coexistence of conflicting viewpoints. Anejaki’s buddhism was western-oriented, so aimed at the ‘Fundamental Buddhism’ that has searched for the original buddhist sermon. Consequently the Mahayana buddhist traditions has been regarded as degraded ones.
    But, Murakami’s interpretation was a contrast to Anejaki’s. He proposed Mahayana buddhism as developed thought, and intended to preserve the traditional world and the worth of religious experience. So, his buddhism has been criticized as incompletely modernized, but it is also needed to reevaluate for resistance against western modernit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