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四天王寺 出土 碑片의 形態學的 檢討 (A Morphological Study on Tombstone Fragments Excavated from Sacheonwangsa Templ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2.12
26P 미리보기
四天王寺 出土 碑片의 形態學的 檢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85호 / 161 ~ 186페이지
    · 저자명 : 최장미

    초록

    사천왕사는 통일신라 초기 당나라와 전쟁을 하던 신라가 호국의 목적으로 절을 짓고 문무왕 19년(679)에 완성하였다고 전한다. 금당 앞에 2기의 목탑을 동․서로 배치한 통일신라 쌍탑가람의 첫 번째 사찰인 사천왕사는 신라 통일기 건축·미술·불교문화사 등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사천왕사 석비는 龜趺-碑身-螭首의 형태를 완전하게 갖춘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사천왕사 중문지 남편에는 龜頭가 없어진 2기의 龜趺만 잔존해 있다. 귀부에 세워졌던 비석은 비록 훼손되었지만 조선시대부터 여러 학자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 조선시대 이래 현재까지 사천왕사 서귀부에는 문무왕릉비가 세워져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동귀부에는 비석의 실체가 확인되지 않아 신문왕릉비나 사적비 등이 세워져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2011년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 의해 진행된 사천왕사지 발굴조사에서 새롭게 2종류의 碑片이 확인됨에 따라, 사천왕사 비편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높아져 갔다. 그러나 기왕의 연구성과는 비문의 판독과 그에 따른 내용 해석에 집중되어 있었을 뿐, 비석의 개체수나 原型을 추정할 수 있는 형태학적인 측면은 등한시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비석의 정간 및 글자의 형태학적인 면을 중점적으로 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사천왕사 비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천왕사에서 출토된 비석은 모두 3종류로, 각각은 문무왕릉비, 사천왕사 동귀부에서 발견된 비(2011년 출토), 그리고 서쪽 석교 상부에서 발견된 비편(2011년 출토)으로 나누어 보아야 할 것이다.
    출토된 비편은 단편이기 때문에 비문을 통한 내용이나 성격규명 등을 할 수 없는 상황이며, 향후 더 많은 자료가 확인되어 비문의 내용과 비석의 제 위치가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It is historically said that Sacheonwangsa was a temple built with the purpose of patriotism in the early period of Unified Sila when Sila went into war against the Tang Dynasty in China, and it was completed in the 19th year of King Munmu's rule (A.D.679). Sacheonwangsa was the first temple of Unified Sila's Ssangtapgaram (twin-pagoda temple), in which two wooden pagodas were located toward the east and west respectively in front of Geumdang (the main building of the temple), and it has many significant historical aspects in studying the architecture, art and Buddhist cultural history of the period when Sila was unified.
    The tombstone of Sacheonwangsa is assumed to have been complete in the form of Gwibu-Bishin-Yisu at first, but at present, there are only 2 Gwibu (turtle-shaped socles) left with Gwidu (turtle heads) missing in the southern section of Sacheonwangsa Jungmunji. Despite its partial damage, the tombstone standing on the turtle-shaped socle has constantly attracted lots of attention from scholars since the Joseon Dynasty period.
    Since the Joseon Dynasty period up to the present, Munmuwangleungbi (Royal Tombstone for King Munmu) has stood up at the western Gwibu of Sacheonwangsa, but the true nature of the tombstone in the eastern Gwibu was not clarified, resulting in having assumed there might have been Shinmunwangleungbi (Royal Tombstone for King Sinmun) or monuments.
    In 2011,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onducted an excavation research for Sacheonwangsaji, and newly discovered 2 kinds of tombstone fragments, which made the academic circles more interested in the tombstone fragments excavated from Sacheonwangsa.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Sacheonwangsa have focused on the deciphering of epitaphs and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s, but there was a tendency to overlook its morphological aspects used to assume the number of tombstones or prototyp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all the tombstone fragments having been excavated from Sacheonwangsa so far, by focusing on the morphological aspects of patterns and characters engraved in the tombstone.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is study found out there are a total of 3 items of tombstones excavated from Sacheonwangsa, and divided them by location, one for Munmuwangleungbi, the other one discovered in the eastern Gwibu of Sacheonwangsa and the last tombstone fragment discovered on the upper part of the western stone bridge (including the tombstone fragment stored in Dongguk University Museum.
    The tombstone fragments excavated are so small that it is hard to verify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by deciphering the epitaph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much more data can be confirmed in the future in order to interpret the contents of epitaphs and find out the right locations of tombsto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