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正祖의 <大老祠碑>(1787년) 前面 篆書 연구 (On the Seal Characters of King Chong-jo's Daerosabi (in 1787))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0.03
24P 미리보기
正祖의 &lt;大老祠碑&gt;(1787년) 前面 篆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16호 / 203 ~ 226페이지
    · 저자명 : 이인숙

    초록

    <大老祠碑>는 正祖(재위 1776~1800)가 1787년 직접 써서 하사한 ‘大老祠碑’ 네 자를 새겨 세운 석비로서, 宋時烈을 향사한 경기도 여주 대로사에 있다. <대로사비> 前面 篆書는 小篆이 대부분인 조선시대 碑額과는 다른 특이한 大篆으로서 유사한 예를 찾기 어려운 대작이다.
    성리학이 주도 이념으로 자리 잡은 16세기 중반 이후 국왕의 문예활동에는 많은 제약이 있었다. 그럼에도 정조가 <대로사비>와 같은 대작을 남길 수 있었던 배경에는 강화된 왕권을 바탕으로 많은 시와 서예를 남기고 서화를 감상하는 등 다양한 문예활동을 했던 숙종과 영조의 선례가 있었다.
    정조의 서예는 전서 ․ 해서 ․ 행서 ․ 초서, 한글 등 각체가 비문 ․ 현판 ․ 묵적 ․ 간찰 등 다양한 매체에 걸쳐 남아 있다. 정조의 서예는 어필이라는 국왕의 상징 자본을 당대의 정치적 필요에 의해 적절히 활용한 실용적인 용도의 것이었다. 정조는 금석문을 많이 남겼는데 비문 뿐 만 아니라 비의 篆書까지 직접 쓴 것은 주목할 만하다.
    그간 <대로사비> 전서 서체는 기필과 수필이 뾰족한 획의 형태로 인해 막연히 懸針篆이나 柳葉篆으로 일컬어져 왔다. 그러나 <대로사비> 전면 전서의 자형을 분석한 결과 祠자의 ‘示’ 부분이 『설문해자』의 籒文임을 밝힐 수 있었다. 정조는 <대로사비> 전서를 당시까지 실제 적용된 유례를 찾기 어려운 籒文으로 書寫하였다고 판단된다.
    정조가 주문으로 <대로사비>를 쓴 것은 의례용의 서체인 전서로서 학문적 이념과 정치적 정체성을 나타내기도 했던 조선시대의 특수한 상황으로 인한 것이었다. 許穆의 眉叟篆이 남인들의 비액에 사용됨으로서 그들의 이념적, 정치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표지로 작동했고, 영조가 ‘洪武正韻體’로서 대명의리를 표명했듯 정조는 국왕으로서의 정체성을 주문으로서 나타내고자 하였다고 여겨진다.
    <대로사비>는 정조시대의 가장 거대한 정치 집단이었던 노론의 종주이자 주자학자인 송시열에 대한 존숭을 표시하면서 국왕의 더 큰 통합력으로 노론을 포용하고자 한 정조의 의지에서 나온 작품이라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Daerosabi(大老祠碑) is a stone monument inscribed with handwritings bestowed on Song Siyeol(宋時烈) by King Chong-jo(正祖), in 1787, and it is in Yeoju, Kyungkido. Daerosabi seal characters(篆書) on the front is a great work with an unusual type of Daejeon(大篆),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Sojeon(小篆) on general stone monuments in the Choseon dynasty, and so it is not that easy to find a similar example like this.
    There'll be no question to say that a king's own handwritings be used as political symbols. But there were quite a restriction for a king to do literary activities such as calligraphies by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King Yeong-jo(英祖) and Chong-jo left a lot of handwritings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eon dynasty, and it was influenced by King Suk-jong(肅宗), who had a lot of interest in literature. On the basis of strengthened royal authority, Suk-jong left his own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he also appreciated of other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these literary activities by Suk-jong became a background for Chong-jo to leave a great calligraphic work such as Daerosabi.
    Chong-jo(reigned 1776-1800)'s calligraphy has various types of the classic writing styles; Jeonseo(篆書) ․ Haeseo(楷書) ․ Haengseo(行書) ․ Choseo(草書), Korean (한글). And these various writing styles used on various media such as stone monuments, signboards, letters, documents, and some other calligraphic materials are handed down today. Chong-jo used his handwritings properly for the political necessities of the time. Especially, Chong-jo left a lot of seal characters(篆書), and it is noteworthy.
    Till now, the calligraphic writing of the seal characters of Daerosabi has been called Hyunchimjeon(懸針篆) or Yuyeopjeon(柳葉篆), because it have the shape of the sharp stroke. But by analyzing the form of the seal characters on the front of Daerosabi, a fact that the first part Si(示) of the word Sa(祠) is Jumoon(籒文) of 「Seolmoonhaeja(說文解字)」is found. It's adjudged that Chong-jo wrote the seal characters on the front of Daerosabi with Jumoon, which was very hard to find a descended example applied the same way till then.
    It's due to the special situation of the Choseon dynasty, in which the seal characters, a ceremonial handwriting, reflects the academic ideology and political identity, that Chong-jo wrote Daerosabi with Jumoon. By using Heomok(許穆)'s Misujeon(眉叟篆) on the monument of Namin(南人) group, it became means of explaining their ideological and political identity. Chong-jo intended to express the identity of a king with Jumoon. Daerosabi is an expression of honor towards Song Siyeol, who was the core of Noron(老論), the greatest political group at the time of Chong-jo, and also it is figured out that this work is out of Chong-jo's will to embrace Noron with bigger integ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