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영랑 비가류 시작의 심적 정향 (The Sentimental Tendency of Kim Yeong-Rang’s Elegiac Type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1.12
38P 미리보기
김영랑 비가류 시작의 심적 정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79호 / 99 ~ 136페이지
    · 저자명 : 이창민

    초록

    논점 : 색인격 시어 빈도수 집계에 의한 시작 경향 파악 및 주류 양식 규정대상 : ①시작 전편의 원본 및 현대어 정해본 ②기존 논의의 향방을 결정한 주요 논고방법 : ①영랑론의 사적 전개 과정과 현황 개괄 ②유력한 주요 논고의 입장과 논점 정리 ③사조론의 문제점과 표현론의 적실성 지적 ④영랑시에 최적화된 연구 방법 확인 ⑤어사론에 입각한 상용 어휘 빈도수 조사 ⑥색인어의 지정과 어휘별 집계 ⑦영랑시의 시작 경향과 주류 양식의 통계적 규정개요 : [조사 어휘] ①주관을 표시하는 ‘나’를 기본형으로 그에 격조사 또는 보조사가 결합된 어구 ②작인을 지시하는 ‘마음’ 및 그와 동일한 의미로 쓰인 유어 ③‘눈물’이나 ‘울음’ 및 ‘서럽다’나 ‘외롭다’ 같이 주체의 비감을 명시한 감정어 [집계 결과] ①주관 표시 어구 37/87편(43%) 85회 ②작인 지시 어구 48/87편(55%) 104회 ③애상 표현 어구 48/87편(55%) 103회 ④고독 표현 어구 18/87편(21%) 29회 [주요 특징] ①시작의 내적 동기−주관적 비애의 발로 ②시작의 기본 정조−비감과 애조 ③시적 비감의 주조−애상과 고독의 심정 ④시작의 주류 양식−비가와 애가

    영어초록

    Point: ①Investigating the frequency of words that can be viewed as an index ②Identifying the dominant trends in works and defining mainstream styles Subject: ①The original texts and modern language versions of entire poems of Kim Yeong-rang ②Important articles that set the direction of the discussion Method: ①Overview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and current status of the discussion ②Summarizing the positions and issues of important criticisms ③Pointing out the problems of criticism based on literary trends and the appropriateness of criticism on the way of expression ④Choosing the most suitable research method ⑤Survey on the frequency of favorite words ⑥Assignment of index words and calculation of frequency ⑦Statistically define the trends and main styles of works Overview: [Words surveyed] Words that ①express subjectivity such as "I" ②direct the agency such as "heart" ③express the sad emotions of the subject such as "tear and sadness, or sorrow and loneliness" [Salient features] ①Intrinsic motivation to create−Expression of personal sorrow ②Basic sentiment of the work-Feelings of sorrow and sadness ③Main stream of poetic sorrow−Heart of sorrow and loneliness ④ Main style of the work−Elegiac Type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