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각 문서’에서 ‘시각 석비’로-집안고구려비와 광개토왕비의 형태적 연원- (From Visual Wooden Slips To Visual Stone Stele : How the Goguryo Stelae was selecte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7.06
32P 미리보기
‘시각 문서’에서 ‘시각 석비’로-집안고구려비와 광개토왕비의 형태적 연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18호 / 105 ~ 136페이지
    · 저자명 : 김병준

    초록

    석비는 후한시기에 기본적 외관을 갖추게 되는데, 이때 석비는 서사매체로서 당시 가장 중요한 서사매체인 목간의 형태를 본따 외관이 갖추어지게 되었다. 가장 대표적 ‘視覺 文書’인 표찰 목간의 형태를 본따게 되었는데, 문서의 제목 및 간략한 내용이 적혔던 표찰 목간과 석비의 비문이 동일한 기능을 가졌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표찰 목간은 윗부분에 둥그런 모양을 하고 그 둥그런 부분에 그물망과 같은 사선 격자문양을 칠하며 끈을 묶는 구멍이 뚫려 있는데, 석비는 이를 따라 윗부분에 비수를 만들고 그 비수에 暈紋이나 龍虎 등의 장식을 하고 둥그런 비천을 題額 아래에 뚫게 되었다. 한편 맹서문에 신령이 강림할 수 있도록 규형이 사용되었던 서사 전통을 이어, 석비의 비수도 비문의 내용을 다짐하고 약속하는 맹서의 의식을 위해 신령의 강림을 뜻하는 규형이 유행하게 되었다. 또한 중대한 일을 대중에게 공개적으로 게시함으로써 권위를 높이려는 석주형 사면비도 건립되었다. 이처럼 석비는 서사재료로서의 기능이 먼저 고려되어 ‘시각 목간’의 형태를 계승하며 석비의 기본적 외관이 결정되었다. 그런데 석비 중에서도 묘주의 升仙을 희구하는 묘비가 특히 유행하면서 그에 적합한 장식적 요소가 다시 추가되었다. 사후에 龍舟를 타고 천상의 세계로 승선하는 관념을 묘비에 표현하였다. 비수는 하늘의 세계로, 비좌는 지하의 세계, 그리고 비천은 생명의 상징인 옥벽으로 비정되었던 것이다. 석비의 외관은 목간이 갖고 있는 시각적 효과를 그대로 계승하였을 뿐 아니라, 승선이라는 관념까지를 담기까지 이르렀다. 이 점에서 ‘시각 목간’을 이은 ‘시각 석비’가 탄생했다고 할 수 있겠다.
    집안고구려비와 광개토왕비는 이러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시각 석각’ 문화 위에서 선택되었다. 왕릉 옆에 세울 석비였기에 더욱 더 석비의 목적에 적합한 석비의 형태를 고려하고 신중히 선택했을 것이다. 집안고구려비는 석비에 신령이 강림할 수 있도록 圭形 비수가 선택되었으며, 광개토왕비는 중요한 敎令을 많은 사람에게 게시함으로써 왕의 권위를 높이고 시행 효과도 증진시키기 위해 석주형 사면비가 선택되었다. 즉 후한 이래 석비문화를 숙지하고 있었던 고구려가 자신의 필요에 의해 碑形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Stele had developed its shape since the first part of Later Han period. Its shape modeled the wooden slips as a medium to be written. More specifically, the tally wooden slips known for ‘visual wooden slips’ were taken as the model, because both share same features in terms of contents and function, such as writing the title or summary on the surface. The tally wooden slips had a round top, in which reticular pattern was filled and a hole was perforated for the sake of binding with other wooden slips or the basket. Accordingly, the stele made its top round, decorated with dragons and tigers or mysterious mountains, hole-perforated under the stele title. Triangular-shaped top was also taken into the stele, which modeled after the triangular-shaped wooden slip. This shape was thought to mean the descent of the holy spirit for the purpose of oath. In addition to these, four-sided rectangular stone pillar was followed after the four-sided or many-folded wooden slips, both of which were used to post in front of many people for the strengthening the prestige of the emperor. At the same time, more decorations were added in the memory of the deceased. The decorations of the top part meant the heaven, the low part meant the underground world, while the perforated hole was taken as the symbol of life. All these visual decorations could be named as ‘visual stele’, which succeeded to the ‘visual wooden slips’.
    Jian Goguryo stele and King Gwanggaeto stele were selected to maximize these visual effects. These were very carefully reviewed by the Goguryo people because it would be erected by the king’s mausoleum. Jian Goguryo stele took triangular-shaped top for the purpose of the descent of holy spirit. King Gwanggaeto stele was taken to highlight the prestige of the king and increase the effect of the edict, In sum, Goguryo had fully understood the stele culture prevailing in East Asia and selected the shapes of the stelae which fit its political purpose, which developed to be its own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