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非)체제에서 유토피아로: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From non-system to utopia:Based on Lee Chung-joon's "Island that swallowed the myth")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4.12
35P 미리보기
비(非)체제에서 유토피아로: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춘원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춘원연구학보 / 29호 / 401 ~ 435페이지
    · 저자명 : 오자은

    초록

    이 논문에서는 『신화를 삼킨 섬』을 이청준 문학의 원초적 지점인 전짓불 체험의 연장선상에서 독해하면서 ‘체제와 인간 사이의 대립’이라는 이청준 문학의 핵심 주제가 ‘신화적 세계에 침범한 국가 권력과 그 속에 포섭되지 않는 인간의 영혼 사이의 대립’으로 발전하며, 그 속에 말년의 작가가 도달한 마지막 소설적 인식이 들어 있음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2장에서는 제주도에서 오랜 세월 체제와 반체제의 충돌에 희생된 자들의 영혼을 위한 제사의 권리를 침해받은 섬사람들의 상황을 ‘이중의 금지령에 묶인 안티고네’로 해석한다. 이때 소설의 중심 사건인 ‘역사 씻기기’ 사업은 국가 권력이 원혼을 달랜다는 명분하에 무당을 동원하여 권력 공고화라는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려는 ‘신화 세계의 식민화’라는 점에서 새로운 형태의 제사권의 침해임이 드러난다. 3장에서는 새로 발굴된 신원 미상의 유골들을 둘러싸고 청죽회와 한얼회로 대표되는 대립적 정치 세력들 사이의 갈등과 섬 심방, 섬사람들이 보이는 침묵의 의미를 고찰한다. 청죽회와 한얼회가 모호한 유골의 정체성을 각자의 체제 속에 편입하려고 한다면, 섬 심방과 섬사람들의 침묵은 이 유골들을 어느 쪽 체제의 성원으로도 등록시키기를 거부하는 비체제적인 태도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규정할 수 없는 ‘무주고혼’은 체제에 균열을 일으키는 ‘정치적 유령’으로서 비체제적인 태도와 동궤에 놓이며, 이러한 비체제적인 것의 저항성은 ‘버려진 자들’이라는 무당의 특별한 존재 양식과 이어져, 국가가 외지에서 동원한 무당들 역시 그러한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난다. 4장에서는 전국 계엄의 폭압이 찾아오기 직전 유화적 국면의 관성이 남아 있는 틈새의 시간에 일어난 가능성을 탐색한다. 급변하는 정세 속에 졸속으로 치러지는 위령제는 권력을 위한 수단적 가치를 상실한 뒤에 오히려 ‘해원’이라는 원래 목적에 더 가까이 다가간다. 이는 물론 힘없는 무당에 의한 ‘약한 구원’일 뿐이지만 소설 속 아기장수의 신화와 겹쳐 볼 때 권력화의 위험을 안고 있는 집단적 구원의 약속과 대비되는 ‘개별자의 구원’이라는 함의를 읽어낼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we examined how the most important subject of Lee Chung-joon's literature, 'confrontation between the system and humans', became 'confrontation between the state power that invaded the mythical world and the human soul that was not included in it', by analyzing Island that swallowed the myth. The state's desire to dominate the world of death and mythology conflicts with the most essential human desire to mourn the loss of their families. From this point of view, in Chapter 2, the islanders whose rights to sacred rites were violated are defined as antigone bound by double prohibitions. In Chapter 3,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Cheongjukhoe and the Hanerhoe caused by the appearance of the remains of Hallasan Mountain was viewed as a struggle to incorporate the unidentified remains into their respective systems. And the island's atrium and the silence of the islanders defined it as an unsystematic attitude not to register these remains as members of either system. Chapter 4 explores new possibilities that occurred just before full-scale martial law took effect. Ironically, after losing the instrumental value for power and system, the memorial system approaches the original purpose of 'resolution of resentment'. Of course, it is only a 'weak salvation' by a shaman who is weak, but it is meaningful as an 'individual relief' rather than any group in th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춘원연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