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非十二子」에 나타난 순자의 諸子 비판의식 고찰 (An Exploration of Critical Thought on Xunzi’s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諸子) Presented in Fēishíèrzǐ(非十二子))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7.11
33P 미리보기
「非十二子」에 나타난 순자의 諸子 비판의식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탐구 / 48권 / 33 ~ 65페이지
    · 저자명 : 김영호

    초록

    본 논문은 『순자(荀子)』·「비십이자(非十二子)」에 나타난 순자의 제자(諸子)들에 대한 비판의식을 인물 중심이 아니라 비판의 관점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데에 있다.
    순자가 제자들에 대하여 비판한 내용은 『순자』 전편에 걸쳐서 나타나는데, 그 가운데 「비십이자」, 「천론(天論)」, 「해폐(解蔽)」에서는 순자가 제자 사상가들 학설의 특징들을 제시하며 비판한 것이다. 그 외 「정론(正論)」, 「예론(禮論)」, 「악론(樂論)」, 「정명(正名)」에서도 제자를 비판하는 내용이 많이 있다. 이 가운데 「예론」, 「악론」에는 묵가에 대한 비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성악(性惡)」에서는 맹자의 성선설(性善說) 비판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순자의 제자들에 대한 비판의식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지금까지 선행연구들은 특정 제자(인물)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여 왔다. 그리고 그 연구 텍스트에 있어서도 「천론」, 「해폐」, 「정론」, 「예론」, 「악론」, 「정명」에 초점을 맞춘 경우이며, 「비십이자」는 잠시 한두 번 인용하는 정도에 그쳤다.
    따라서 본 논문은 순자의 제자비판의 여러 글들 중에서 그동안 집중적인 논의가 없었던 「비십이자」를 주 텍스트로 삼아 「비십이자」에 나타난 제자에 대한 비판 의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순자의 제자에 대한 비판의식을 고찰함에 있어 인물 중심보다는 순자가 제자들을 비판하는 주요 관점(주제)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비십이자」에서 제자들에 대한 비판내용을 간략히 살펴보고, 순자가 그들을 비판하는 주요 관점인 인간의 욕망에 대한 균형적 관점과 현실주의적 균형의 관점이라는 두 가지를 통해 순자의 제자들에 대한 비판 의식을 고찰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critical thought on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諸子) of Xunzi portrayed in Fēishíèrzǐ(非十二子) based on critical perspective instead of figures.
    Xunzi’s criticism on his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諸子) is presented in the entire Xunzi and his critique on theoretical features proposed by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諸子) is introduced in Fēishíèrzǐ(非十二子), Tiānlún(天論), and Jiěbì(解蔽). In addition, his critical commentaries are observed in Zhènglún(正論), Dělún(禮論), Lèlún(樂論), and Zhèngmíng(正名). Dělún(禮論), and Lèlún(樂論) primarily discuss his criticism on Mo-tzu and Xìngě(性惡) mainly talks about criticism on Mencius’s discussion of human nature(性善說).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specific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諸子)(figures) and examined them so far in terms of studying Xunzi’s critical thought on his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諸子). Moreover, they have concentrated on Tiānlún(天論), Jiěbì(解蔽), Zhènglún(正論), Dělún(禮論), Lèlún(樂論), and Zhèngmíng(正名). They cited Fēishíèrzǐ(非十二子) only a couple of times.
    Therefore, this paper will put Fēishíèrzǐ(非十二子) as a basic text, which has gained little attention compared to his other critical texts on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諸子) and investigate his critical though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is major critical perspectives(themes) on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諸子) rather than figures in terms of examining his critical thought on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諸子). To do so, his criticism on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諸子) identified in Fēishíèrzǐ(非十二子) will be briefly observed and his critical thought won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諸子) will be analyzed based on two major perspectives: balancing perspective on human desire and realistic balancing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