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務安 南村埋香碑’의 판독과 해석 (Decoding and Interpretation of ‘Muan Namchon Maehyangbi (務安 南村埋香碑)’)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3.04
32P 미리보기
‘務安 南村埋香碑’의 판독과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29호 / 228 ~ 259페이지
    · 저자명 : 정동락

    초록

    매향과 매향비는 중국이나 일본 등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우리나라 고유의 독특한신앙행위이자 그 결과물로, 한국 불교의 특징과 한국인의 신앙 양상을 잘 보여주는자료이다. 이 글은 최근 새롭게 확인된 ‘성주 취운향당 소장 무안 남촌매향비’의 비문‘9행 77자’를 판독하고 그 해석을 시도해 본 것이다.
    ‘무안 남촌매향비’의 건립 시기는 1584년(선조 17)으로 지금까지 확인된 매향비 중가장 늦은 것이기에 오히려 가치가 높다. 매향의 하한 시기를 연장시켰기 때문이다.
    아울러 전남 무안지역의 것으로 확인된 첫 매향비 사례이기도 하다. 다만, 아쉬운 것은 현재의 장소로 이동됨으로 인해 원위치를 알 수 없다는 점이다.
    ‘남촌매향비’의 연도 표기는 연호에 ‘歲次’라는 유교적인 표기방식을 채용하였다.
    16세기 후반 향촌사회는 매향과 미륵신앙으로 대표되는 불교적 의식이 유지되고 있었으나, 점차 유교적 질서가 밀려오는 양상이었음을 증언한다.
    ‘남촌매향비’의 참여 계층은 ‘무안 남촌’과 ‘진도 대사읍곶’의 양 향도, ‘무안 승달산법천사’의 승려, 그리고 ‘삼천보’의 契員 등이었다. 향도와 보, 계 등의 신앙결사를 지칭하는 용어가 함께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남촌매향비’ 외에는 전례가 없는 것이다.
    아울러 매향의 주도층이 승려가 아닌 일반인이라는 점과 법천사라는 사찰의 이름이직접 언급된 것도 특징이다.
    매향비가 지닌 희소성, 비의 형태적인 측면이나 비문의 현존 상태, 비문 내용이 전해주는 다양한 양상 등을 감안할 때 ‘무안 남촌매향비’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매향비의 하나로 평가될 만하다.

    영어초록

    Maehyang (埋香) and Maehyangbi (埋香碑) are the Korea’s unique and original religious acts and products that cannot be found in either China or Japan, and they show Korean Buddhism’s characteristics and Koreans’ religious aspects precisely. This article tries to decipher and analyze ‘9 lines 77 letters’ of the epitaph of ‘Muan Namchon Maehyangbi that Seongju Chuiunhyangdang (翠雲香 堂) owns’ which was newly discovered lately.
    The time of building ‘Muan Namchon Maehyangbi’ is 1584 (Seonjo 17), so it is the latest among the Maehyangbi that have been discovered so far, which makes its value even higher. In fact, it has lengthened the latest limit of Maehyang in terms of their periods. Furthermore, it is the first case of Maehyangbi that has been discovered to be Jeonnam Muan region’s. Yet, one thing regretful is that we cannot figure out its original position since it was moved to this place.
    The marking of the year of ‘Namchon Maehyangbi’ adopts a Confucian marking system of ‘Secha (歲次)’ regarding the era name. This proves that the rural society of Joseon Dynasty period during the late 16th century maintained Buddhistic rituals represented by Maehyang or Maitreya faith but Confucian order was washing over there gradually.
    The classes participating in ‘Namchon Maehyangbi’ include Hyangdo (香 徒) of ‘Muan Namchon’ and ‘Jindo Daesaeupgot’, monks of ‘Muan Seungdalsan Beopcheonsa (法泉寺)’, or Gyewon (契員) of ‘Samcheonbo (三千寶)’. It also contains the terms referring to religious associations like Hyangdo, Bo (寶), or Gye (契), and there was no precedent other than ‘Namchon Maehyangbi’.
    Moreover, it is also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leading class of Maehyang was not the monks but ordinary people and it mentions the name of a temple, Beopcheonsa, directly.
    Considering the scarcity that Maehyangbi has, the current status of the tombstone’s morphological aspects and epitaph, or the diversity and importance of the contents that the epitaph has, we can surely evaluate ‘Muan Namchon Maehyangbi’ as one of the Maehyangbi representing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