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플라톤주의의 패러다임적 변환으로서 이암블리코스의 종교철학과 위-디오니시우스 신학에 관한 연구:“homoiosis theo(신과의 닮음)”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Iamblichus’s Philosophy of Religion as a Paradigmatic Transformation of Neoplatonism on Pseudo-Dionysius’s Theology: Focusing on the Concept of “homoiosis theo”)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2.12
24P 미리보기
신플라톤주의의 패러다임적 변환으로서 이암블리코스의 종교철학과 위-디오니시우스 신학에 관한 연구:“homoiosis theo(신과의 닮음)”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06호 / 133 ~ 156페이지
    · 저자명 : 송현종

    초록

    플라톤은 자신의 대화편 여러 곳에서 “신과의 닮음(homoiosis theo)”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이 주제의 자연학적인 측면은 주로『티마이오스』에서, 윤리적 측면은『국가』에서 인식론적 측면은『테아이테토스』에서 논의되고 있다. 인간이 신을 닮는다는 이상은 주로 세 가지 흐름으로 나뉘어 논의되고 있다. 첫째로 지성을 중심으로 하는 인식론적-존재론적 측면이 있다. 둘째로는 윤리적인 이상인 정의를 중심으로 하는 도덕적 측면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양자의 결합을 통한 신적인 삶의 추구가 있다. 본 연구는 양자의 결합을 지지하는 이암블리코스의 신플라톤주의가 추구하는 신과의 닮음이 추론적 지성을 넘어서 어떻게 인간 영혼의 변형을 낳는지를 살펴보고, 그의 철학 체계가‘테우르기아(theourgia)’를 통해 위디오니시우스에게 수용되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1980년대 이래로 라우스(A.Louth), 로렘(P.Rorem)을 중심으로 양자의 불연속성이 강조되었으나 쇼(G.Shaw)는 이를 반박하며 장 트루이야르(J.Troillard)의 주장을 근거로 연속성을 옹호해 왔다.
    결론적으로 이암블리코스의 그리스 테우르기아(the Hellenic Theourigia)와 위디오니시우스의 그리스도교 테우르기아(the Christian Theourgia)사이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 왜냐하면, 두 테우르기아 모두 지성주의에 대한 비판으로서 제의를 통해 영혼의 신성화를 추구하며, 신의 개입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두 학자가 주장하는 테우르기아의 원인(aitia)과 기능(ergon)의 유사성이 인정된다면, (부수적인 차이가 있다고 할지라도) 두 학자의 테우르기아 개념의 연속성은 타당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속성은 더 나아가 그리스 철학과 그리스도교 신학을 관통하는 플라톤 철학의 종교 철학적 특징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며, 이를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영어초록

    For entering into the subject of“homoiosis theo”in the Platonic dialogues with a special focus on concepts pertaining to human soul’s transformation and divinization, some issues have been discussed in Timaeus as the physical, Republic as the ethical, and Theaetetus as the epistemological aspect. Also several themes, including immortality, mania, eros, a way of divine life and rituals have been treated corresponding to the cultural soil of the Platonic tradition in late antiquity. The ideal of man becoming Godlike is mainly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ly, there is an epistemological-ontological view of truth focusing on the intellectual aspect, secondly, an ethical view of Justice, and finally a pursuit of divine life as a combination of both. The term ‘homoiosis theo(becoming Godlike)’is a key concept that a Syrian neo-Platonist Iamblichus strives for elucidating how human soul is transformed into superiors without the aid of discursive reasoning. I shall then make an effort for finding the separate but connected elements between two theurgical systems: the Hellenic and Christian theurgies on the basis of a key concept. The theoretical continuity between Iamblichus’s and Pseudo-Dionysius’s ritual systems should be legitimately examined in order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learly understand the religio-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te neoplatonism in late antiquity.
    Consequently, I maintain, associated with this integral view of Platonism and Christianity, Iamblichus’s neoplatonic and Christian theurgies have no essential differences, since both mutually shared features with the emphasis on ritualistic behaviors beyond the limit of human intelligence. In conclusion, since the cause(aitia) and the work(ergon) of two theurgical systems are similar the continuity between the Hellenic and Christian theurgical systems could be enough to obtain adequate groun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