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폴더블폰의 디자인 속성을 중심으로 한 사용자경험 평가와 디자인 방향성 (An Evaluation of User Experience of Foldable Phones in Terms of Design Attributes and Proposed Future Design Direction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9.12
18P 미리보기
폴더블폰의 디자인 속성을 중심으로 한 사용자경험 평가와 디자인 방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18권 / 4호 / 63 ~ 80페이지
    · 저자명 : 진유슬, 유은

    초록

    연구배경: 폴더블폰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을 접목한, 화면을 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이다. 1세대 폴더블 제품이 기존의 스마트폰 시장에서 대중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기술 구현뿐만 아니라 최적의 사용자경험(UX)을 반영한 디자인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폴더블폰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조사하여 보다 나은 폴더블폰 UX를 구현하기 위한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과정의 초기 단계에서는 폴더블폰이 아직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되지 않아 폴더블폰을 직접 구동하는 동영상을 통해 포착된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였다. 실물 사이즈로 제작된 프로토타입을 사용자들이 직접 체험해보게 함으로써 폴더블폰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 필요, 기대경험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중/후반 단계에서 삼성 갤럭시 폴드가 시장에 출시됨에 따라 폴더블폰을 직접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매장에서 관찰하고 인터뷰하여 보다 직접적인 사용자 경험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UX를 위한 디자인 속성을 모양 변화, 상호작용, 방향성의 3가지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3가지 디자인 속성을 유용성, 사용성, 감성, 상호 작용성, 신뢰성의 5가지 UX평가 요소로 분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조사 프레임웍을 개발하였다. 사용자 조사 결과 모양 변화 측면에서는 기기 모양 변화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 접고 펼침에 따라 변화하는 기기의 물리적 속성들(두께, 가로/세로 크기 등), 기기의 모양 변화에 따른 물리적 내구성에 초점을 맞춘 디자인 방향성이 제시되었고,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변화의 역동성, 폴딩 인터랙션의 정보 디자인에 대한 디자인 방향성이 도출되었으며, 방향성 측면에서는 폴딩 각도와 방향(인/아웃 폴딩)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기반으로 한 디자인 방향성이 제시되었다.
    결론 : 본 연구의 의의는 폴더블폰의 사용자경험을 조사하기 위한 주요 디자인 속성들을 이론적으로 도출하고 이들을 UX 평가 요소와 통합하여 체계적인 폴더블폰 UX 조사의 기틀을 마련한 데 있다. 최근 시장에 출시된 폴더블폰이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긍정적 평가와 관심을 받고 있는 만큼 향후 폴더블폰의 시장 전망은 비교적 밝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폴더블폰 UX디자인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UX 측면에서 더 발전된 폴더블폰 제품과 관련 연구들이 나올 것을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 Foldable phone is the smartphone with foldable screens that integrate flexible display technology. Not only stable technology implementation, but design that reflects optimal user experience (UX) is needed for the 1st generation foldable products to meet user expectation.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design guideline for implementation of better foldable phone UX by investigating user experience, of foldable phones.
    Methods : In the early stage of the research process, we analyzed UX captured on videos of user reviews of foldable phones when foldable phones had not yet officially entered the market. W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the user’s demands, needs, and expected experience by having users experience the full-size prototype. In the later stage of the research when Samsung Galaxy Fold was released to the market, this study collected direct user experiences by observing and interviewing users in the store.
    Result : By analyzing precedent studies, this study suggested design properties for flexible display UX into 3 categories: change of shape, interaction, and direction. Also, this study developed a framework or user research by integrating the design properties with 5 UX evaluation elements as usefulness, usability, sensitivity, interactivity, and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user research, screen interfaces, the device’s physical properties, and the device’s physical durability were highlighted in the "change of shape" aspect of foldable phones. In the "interactivity" aspect, the dynamics of interface transformation design and information design for folding interaction were addressed. In the "directivity" aspect, a design direction for folding types based on users’ preference was proposed.
    Conclusion : This study can be valued in the identification of design properties for foldable phone UX based on a literature study and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framework for evaluating foldable phone UX against evaluative UX elements. As foldable phones are receiving positive assessment and attention from people despite its high price, the market outlook of foldable phones can be considered relatively bright. We expect that our initial research on UX design of foldable phones may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foldable phones with more enhanced UX and relevant academic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