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회의론과 인간조건 ― 스탠리 캐블 연구 1 (Skepticism and the Human Condition ― On Stanley Cavell 1)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0.12
22P 미리보기
회의론과 인간조건 ― 스탠리 캐블 연구 1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53호 / 253 ~ 274페이지
    · 저자명 : 황희숙

    초록

    회의론은 외부 세계에 대한 지식의 가능성을 의심한다. 근대에 데카르트 Descarets가 몽테뉴 Montaigne의 회의에 답변하려 한 이후로, 많은 인식론자들의 반 회의론적인 논박과 비판이 이어졌었다. 최근 캐블 S. Cavell은 회의론에 대한 이런 대응 자체를 잘못된 시도로 간주하고, 이론적 물음이 아닌 더 깊은 화제로서 회의론을 다루고 있다. 그는 ‘회의론의 진리’ 혹은 ‘회의론의 교훈’을 인간의 유한한 경험과 인간 조건이라는 관점에서 이끌어내려 했다.
    이 글은 캐블의 회의론 해석을 다른 현대철학자들 특히, 스트라우드 B. Stroud, 로티 R. Rorty 의 관점과 비교하였다. 회의론의 물음은 철학에 도구적인 가치만을 갖는 것도 아니며, 또한 철학에만 고유한 편협한 의미를 지닌 것도 아니다. ‘확실성’에만 집착하는 데카르트 이래의 프로젝트는 잘못 정위되었다. 회의론이 실제로 드러내는 진실은, 세계의 현존이 앎 knowing의 함수가 아니라, 인정 acknowledgement의 문제라는 점이다.
    캐블에 의하면, 회의론의 근저에는 억제하거나 없앨 수 없는 소망이 있고, 그 회의의 충동은 인간의 사고와 언어에 불가피하다. 인간의 유한성 탈피라는 환상은 인간의 본질이므로, 회의론을 치유의 대상인 ‘질병’으로 간주하는 것도 잘못된 관점이다. 그렇다면 인간성의 조건과 한계를 지적인 난제, 수수께끼로 해석하고 전환시키려는 종래의 전통 인식론의 시도들은 이제 포기되어야 한다. 이렇게 캐블의 회의론 해석에 이르는 길을 조명하고 점검함으로써 ‘회의론의 진리’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며, 이로써 세계와 인간의 관계가 ‘앎’의 관계가 아니라는 그의 주장이 도덕적 지평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다.
    세계가 ‘수용 accept’되어야 하고, 타인의 마음은 ‘인정 acknowledge’되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셰익스피어의 비극과 헐리우드 희극영화에 대한 분석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확실성을 추구하는 일은 우리를 실패와 비극에 이르게 하며, 유한성을 받아들이고 세계와 동료 그리고 자신의 정체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 캐블 주장의 요체다. 결국 우리에게 부가적 지식이 더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인정, 수용, 신뢰와 같은 삶의 방식에 의해 우리의 인간관계가 변형될 수 있다는 캐블의 주장은, 회의론 논의가 가질 도덕적 함의를 깨닫게 해준다. 비극이나 광기에 무너지지 않는 삶을 위한 덕의 교리로서 제시될 수 있는 바, 회의론에 담긴 진리와 그 도덕적 차원은 앞으로 더욱 논의되어야 할 과제다.

    영어초록

    Skepticism doubts the possibility of knowledge of external world. In modern times, ever since Descartes attempted to respond to Montaigne's skepticism, many epistemologists have criticized and disputed the validity of skepticism. Recently, S. Cavell has deemed all these previous responses to skepticism as wrong attempts, and has dealt with skepticism not merely as a theoretical question but as a deeper issue. Cavell tries to view 'the truth of skepticism' or 'the moral of skeptic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ditions of the humanity, or human finitude.
    This paper compares S. Cavell's conception of skepticism to that of other modern philosophers, including B. Stroud and R. Rorty. The value of the question of skepticism is not limited to its being an instrument of philosophy, and its range of influence surpasses the bounds of philosophy. Since Descartes' narrow focus on the certainty, the project of epistemology has been wrongly oriented. The truth of skepticism is that the world's presence is not the function of the knowing, but the problem of acknowledgement.
    According to S. Cavell, unappeasable craving surrounds skepticism, and such an urge of the skepticism is inevitable in the thoughts and languages of the mankind. Breaking the human finitude being the essence of men's illusion, it is wrong to deem the skepticism as a 'disease' subject to cure. In the same manner, the previous attempts of the traditional epistemology to consider the conditions of humanity as an intellectual lack and to convert it to puzzles to be solved must be abandoned.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is to further validate S. Cavell's arguments,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world and the mankind is not based on 'knowing', and enlarge the moral dimension of his arguments.
    Cavell's argument that the world is to be accepted and presentness of other minds is to be acknowledged is supported by analysis of Shakespearean tragedies and of Hollywood's comedies. The essence of Cavell's arguments show that pursuing certainty leads us to failures and tragedies, and urge us to accept the human finitude and acknowledge the world, other minds, as well as our self-identities. In the end, Cavell's argument ― that it is not additional knowledge that is required but ways of life such as recognition, acceptance, and trust, that can form and transform human relationships ―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moral implications the issue of skepticism entail. The truth in skepticism that could be established as a doctrine of virtue imperishable by tragedies or madness, and skepticism's moral dimensions addressed in this paper should be further discuss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