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루터파 정통주의의 섭리론 연구: 아브라함 칼로브(1612-1686)의 Systema Locorum Theologicorum과 Apodixis Articulorum Fidei에 나타난 신의 섭리와 인간의 자유의 관계성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Lutheran Orthodoxy’s Doctrine of Providence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Analysis of Abraham Calov’s(1612-1686)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Between Divine Providence and Human Freedo)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5.03
52P 미리보기
17세기 루터파 정통주의의 섭리론 연구: 아브라함 칼로브(1612-1686)의 Systema Locorum Theologicorum과 Apodixis Articulorum Fidei에 나타난 신의 섭리와 인간의 자유의 관계성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 수록지 정보 : 갱신과 부흥 / 35호 / 121 ~ 172페이지
    · 저자명 : 유정모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7세기 루터파 정통주의 신학자였던 아브라함 칼로브(Abraham Calov, 1612-1686)의 섭리론을 신의 섭리와 인간의 자유의 관계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루터파 정통주의 섭리론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에 있다. 칼로브의 섭리론 및 관련 교리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우리에게 제시하여 준다. 첫째, 섭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16세기 초창기 루터파 신학자나 예수회, 항론파, 개혁주의 전통의 그것과 별 차이가 없다. 둘째, 칼로브는 예수회의 중간지식은 반대한다. 하지만 주지주의적 입장을 따르는 칼로브는 개혁파의 견해와는 달리 모든 것을 미리 결정하는 작정 개념이 우발성을 파괴한다며 절대 작정에 근거한 예지 개념을 반대한다. 또한, 그는 하나님의 선행적 작정이 발생하는 모든 것의 원인이 된다는 개혁파의 주장도 반대한다. 결과적으로 예지와 작정이 발생하는 필연성과 우발성의 관계를 설명하는 방식에서 칼로브는 개혁파보다는 예수회와 항론파의 입장에 훨씬 더 가깝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칼로브는 토마스주의와 개혁파의 사상과는 달리 동시적 협력만을 인정하고 제이원인이 일하기 전에 선행적으로 운동하는 선행적 협력의 개념은 반대한다. 일반적이고 중립적이고 비확정적인 성격을 갖는 동시적 협력만 인정하는 칼로브의 주장은 예수회, 소키누스주의, 항론파와 사상적 궤를 같이한다. 넷째, 칼로브는 섭리와 인간의 죄의 관계를 ‘허용’이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한다. 허용의 개념을 통해 하나님을 죄의 조성자로 만들지 않으려는 시도는 예수회나 항론파 뿐만 아니라 개혁주의에서도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내용이다. 하지만 죄의 허용이 구체적으로 의미하는 바에 대한 칼로브의 입장은 개혁주의와 매우 상반된다. 다섯째, 공시적·통시적 연구를 통한 칼로브의 섭리론 및 관련 교리에 대한 분석은 17세기 루터파 정통주의가 16세기 루터와 종교개혁의 전통에서 이탈하여 이들과 상당한 불연속성을 갖는다는 기존 학계의 주장은 정당하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칼로브의 섭리론에 대한 분석은 17세기 루터파 정통주의가 기존 16세기 루터파 종교개혁가들의 사상을 변질시켰고 종교개혁보다는 오히려 계몽주의와 이성주의의 사상과 상당한 사상적 연속성을 갖는다는 주장 역시 타당하지 못함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Lutheran orthodoxy's view of providence in the seventeenth century with a particular attention on the relation between divine necessity and human freedom. Particularly, in order to reach the goal, this study will examine Abraham Calov’s ideas of providence shown in his writings. The study of Calov's view of providence and its related doctrines permits us som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Calov's basic understanding of providence is in continuity with 16th century Lutheran theologians, Jesuits, Remonstrants, and Reformed tradition. Second, Calov opposes the concept of middle knowledge. However, he refutes Reformed view of absolute decree. Calove believes that divine predetermination destroys contingency. Consequently, in the way Calov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ne necessity and human freedom, he is much closer to the Jesuits and the Remonstrants than to the Reformed. Third, unlike Thomists and the Reformed theologians, he denies prevenient concurrence but approves only simultaneous concurrence. Calov's view of providence which approves only general, indifferent, and indefinite concurrent shows that he aligns himself theologically with the Jesuits, Socinianism, and the Remonstrants. Fourth, Calov tries to resolve the issue of the cause of sin by the concept of divine permission. This attempt is also commonly found in the Jesuits, the Remonstrants as well as the Reformed. However, his understanding of the permission of sin stands in contrast to the 16th and 17th century Reformed theology. Fifth, the examination of Calov’s doctrine of providence and related doctrines through synchronic and diachronic studies indicates that previous scholarship's view that 17th century Lutheran orthodoxy significantly deviated from 16th century Lutheran reformers cannot be validated. Moreover, the analysis of Calov’s doctrine of providence shows that the previous charge that 17th century Lutheran orthodoxy is more continuity with rationalistic thought than 16th century Lutheran reformers cannot be warran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갱신과 부흥”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