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간 브랜딩을 위한 시각적 속성요소가 사용자 경험에 대해 미치는 영향 – 플래그십 스토어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Visual Attribute Elements on User Experience for Spatial Branding - Focusing on Flagship Store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9.12
12P 미리보기
공간 브랜딩을 위한 시각적 속성요소가 사용자 경험에 대해 미치는 영향 – 플래그십 스토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0권 / 6호 / 619 ~ 630페이지
    · 저자명 : 홍현두, 이정교

    초록

    공간디자인을 제안하는 프로세스에 있어 공간 구성과 서비스 제공에 대한 비즈니스 플랜이 매우 중요하다. 표면적으로 공간을 보여주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위한 경험과 가치를 통한 서비스의 다양화가 핵심이 된다. 이를 통해 궁극적인 목적을 완성하는 것이 공간디자인 비즈니스의 핵심이 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사용자 경험은 매우 중요하다. 브랜딩 된 공간을 통해 브랜드를 경험하고 콘텐츠로 현존 고객과 잠재 고객들을 지속 가능한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특별한 공간 환경의 다양한 요소가 고객에게 흥미를 유발하며, 브랜드의 인지도와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게 만드는 전략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브랜드의플래그십 스토어에서 공간의 서비스 고도화를 최대화하는 전략이 공간 구성 요소와 사용자 경험에 긍정적인 의미가 있는 가에 관한 연구에 목적과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몇 가지 용어들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브랜딩에 관한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해 플래그십 스토어의 공간적 의미와 브랜딩의 속성 요소를도출하여 공간 구성 요소를 평가한다. 도출된 평가 요소를 이용해 국내 플래그십 스토어의 선행 사례들을 분석하며 공간 브랜딩 속성요소와 공간 구성요소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한다. 국내 도산공원 인근 플래그십 스토어 공간 중 조건에 맞는 공간을 선정하여, 분석 모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 브랜딩 속성요소와 사용자 경험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한다. 분석 모형은 사용자 후기 지표와 구성요소를 기본으로 한다. 브랜딩은 다채로운 공간에서 브랜드가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올바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기준이 된다. 공간 구성이복합적이고 브랜딩이 유연한 공간 속에서 사용자들은 브랜드를 다양하게 체험하고 경험하며,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상승시킨다. 오늘날의 플래그십 스토어는 단순히 핵심 제품군을 판매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를 체험하고, 경험을 유발함으로써 고객과 소통하는 모델을 제안해야 한다.

    영어초록

    IIn the process of proposing spatial design, business plans for spatial configuration and service delivery are critical. Diversification of services through experiences and the values for users are the key points rather than only showing the space fragmentally. By doing so, completing the ultimate goal is becoming the core of the space design business. In this context, the user experience is very important. Spatial branding should be able to secure the existing and potential customers as sustainable customers with contents to experience the brand. This is a strategy that will drive interest in various elements of special spatial environments to the customers and increase the awareness and value of the bran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whether the strategy of maximizing service advancement of the space in the flagship store has a positive meaning on the spatial component and user experience. This study analyzes the precedent cases of domestic flagship stores through evaluation factors and studies the effects of spatial branding attributes and spatial components on user experience. Prior to proceeding with this study, some terms are defined and the spatial components are evaluated by deriving the spatial meaning of the flagship store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about branding. From this result, it analyzes the precedent cases of domestic flagship stores through evaluation factors and studies the effects of spatial branding attributes and spatial components on user experience. From the flagship stores near Dosan Park in Korea, spaces that meet the conditions, and the result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model is compared and analyz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randing elements and the user experience. The analysis model is based on user reviews and components. Branding is the basis for ensuring that the message the brand wants to convey is delivered in various spaces. In a space that is complex in composition and flexible in branding, users can experience the brand and increase positive image of the brand. Today's flagship stores are more than just selling products, it's a way to experience the brand, inspire the experience, and communicate with the custom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