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너레이티브 디자인 표현 요소와 선호도 평가 연구 -제품 시각적 평가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Study on Generative Design Expression Elements and Preference Evaluation -Focused on Analysis of Product Visual Evaluation Factor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2.03
12P 미리보기
제너레이티브 디자인 표현 요소와 선호도 평가 연구 -제품 시각적 평가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8권 / 1호 / 427 ~ 438페이지
    · 저자명 : 정승욱, 김후성

    초록

    최근 형태학(Morphology) 관점에서의 디자인 흐름을 살펴보면 유기론적 관념 기반으로 제품의 조형적표현에 변화가 나타나고 사용성 UI에서도 연관되어패러다임에 변화가 대두되고 있다. 정형화된 구조를벗어나 유연한 형태 기반의 오르가닉 유저 인터페이스(Organic User Interface)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나타나는 것처럼 향후 산업 디자인은 지금과는 다른형태와 구조로 사용성에 혁신을 가져올 것이고 패턴, 그래픽 등의 디자인 요소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본연구는 제너레이티브 디자인의 본질과 이와 관련된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선행 프로덕트의 요소 디자인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평가를 하여 제너레이티브 조형성을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와 방법으로는 유기론적 형태의 요소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서 문헌 연구와 사례조사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한 선행 패턴 디자인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비선형(Non-liner) 과 유기체(Organic)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와연계된 제너레이티브 디자인에 대해 이론을 고찰하여패턴, 그래픽 등의 요소 디자인의 활용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는 도출된 디자인 결과물이유의미한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34명의 학계 및 실무 전문가 그리고 디자인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비모수적 통계방법(Nonparametric tests of medians)을 통해 만족도 조사를 했다.
    이 과정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들은 제시된 요소 디자인에 대해 기존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표현 요소보다 선호도가 높았다. 이는 제너레이티브 디자인 기반의 유기론적 형태가 새로운 조형 요소로써의 적용 가능성과 디자인 트렌드로 확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개발 변수나 옵션에 따른 데이터 최적화 및 주어진디자인 영역에서 다양한 디자인 요소를 생성하여 선행제품의 디자인 조형 트렌드 구축 방법에 활용될 수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양산 및 출시 이후에발생하는 프로그램 문제에 대해서 최적의 옵션을 활용하여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제너레이티브 기반의 요소 디자인은 건축, 자동차 그리고 제품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생각을 조형형태의 표현 및 설계에 적용 시 표현 요소의 선호도에 따른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해 주는 방법이 구축되며, 비선형성과 유기체적 요소가 제품과 UI 디자인의개념으로 발전이 전개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나타날것이라고 기대된다.

    영어초록

    Looking at the recent design flow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logy, changes in the formative expression of products appear based on organic concepts, and changes in the paradigm are emerging as they are also related to usability UI. Just as a flexible organic user interface appears in smart devices beyond the standardized structure, industrial design will innovate usability in a different form and structure in the future, and major changes are expected in design elements such as patterns and graph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lement designs of preceding products using the nature of generative design and related computer programs, evaluate user acceptance, and study ways to apply generative formability to design. As for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in order to develop an organic form of element design,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and preceding pattern design through computer programs were conducted.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non-linear and organic was examined, and the theory was reviewed on the general design linked thereto to derive methods and implications for the use of elemental designs such as patterns and graphics. Next,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derived design results contain significant possibilities, 34 academic and practical expert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esign were interviewed in-depth and nonparametric tests of medi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users had a higher preference for the presented element design than the expression elements appearing in the existing design. It is believed that the organic form based on generative design shows the possibility of applicability as a new formative element and expansion into design trends. Second, it is thought that data optimiza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variables options and various design elements can be created in a given design area to be used in the method of establishing design formative trends of preceding products. Third, it is possible to present a solution by using optimal options for program problems that occur after mass production and release.
    Generative-based element design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e, automobile, and product design, and when designers’ creative thoughts are applied to formative expression and design, a new paradigm will emerge in which nonlinearity and organic elements develop into product and UI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