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의 인지적 편향을 적용한 스페이스 브랜딩 디자인 : IKEA 매장에서의 긍정적 활용 분석 (Space Branding Design applying Consumers' Cognitive Biases : Positive Applications in IKEA Store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1.10
14P 미리보기
소비자의 인지적 편향을 적용한 스페이스 브랜딩 디자인 : IKEA 매장에서의 긍정적 활용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7호 / 187 ~ 200페이지
    · 저자명 : 이정민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기업들이 고객에게 고품격의 브랜드 체험을 제공하는데 활용하는 중요한 전략 중의 하나가 스페이스 브랜딩이다. 이는 공간을 활용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고객이 오감과 공감각적 체험을 통해 브랜드를 직접적으로 체험하게 만드는 것이다. 스페이스 브랜딩의 공간을 디자인할 때 디자이너는 소비자의 인지작용을 면밀하게 고려해야 하는데 본고는 인지심리의 이론들 중에서 "인지적 편향(Cognitive Bias)"에 대해 연구한다. 인간의 사고와 판단이 항상 합리적이고 정확하지는 않다. 즉 인간은 다양한 인지적 편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르거나 과장된 판단을 한다. 그러나 이런 편향들이 기업에 반드시 불리한 것은 아니다. 이들 중에는 브랜드 메시지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더 효과적으로,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본고는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본고는 IKEA의 매장디자인을 분석하여 이런 인지적 편향 이론들의 디자인 적용성도 검토한다. IKEA는 스페이스 브랜딩의 개념이 등장하기 훨씬 이전부터 초대형 매장과 쇼룸 전략, 유희적 복합문화 공간의 운영을 통해 스페이스 브랜딩 전략을 실천해 온 기업이다. (연구방법) 스페이스 브랜딩에 적용될 수 있는 인지적 편향 이론의 분석은 문헌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분석된 이론들의 디자인 적용성 검토는 IKEA 매장디자인에 대한 정성적 사례분석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스페이스 브랜딩에 적용 가능한 인지적 편향 이론은 모두 17개 이론들이 분석되었다. 첫째, "긍정적 가치 인식 강화"를 위한 이론들이 있다. 각 기업은 자사 브랜드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로 인식되도록 노력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공된 브랜드 정보에 대해 소비자의 긍정적인 사고와 해석, 판단이 촉진되도록 디자인 요소들이 구성되어야 한다. 즉 고객이 브랜드의 가치를 다소 과장되게 판단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이론들은 9개 이론이 분석되었다. 둘째, "상징성 인식 강화"를 위한 이론들이 있다. 기업은 특정 정보와 관련하여 특정 이미지나 상징성이 쉽게 연상되도록 하고자 할 때가 있다. 이런 상징성이 소비자들에게 보다 쉽게 전달되도록 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이론들은 5개 이론이 분석되었다. 셋째, "효용성 인식 강화"를 위한 이론들이 있다. 기업은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효용성이 소비자들에게 극대화되어 인식되기를 원한다. 이를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이론들은 3개 이론이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본고는 IKEA의 매장디자인을 분석함으로써 17개 이론들이 실제의 스페이스 브랜딩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결론) IKEA 매장디자인의 분석 결과, IKEA는 다양한 인지적 편향 이론들을 세심하게 디자인에 반영함으로써 브랜드 메시지가 IKEA의 의도대로 고객에게 이해되고 기억될 수 있도록 많은 고려를 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에는 IKEA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유명 브랜드들이 플래그십 스토어나 팝업스토어 등을 통해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를 위한 디자인에서는 본고에서 연구한 바와 같은 인지적 이론들을 세심하게 디자인에 반영하는 것이 미래 디자이너들의 중요한 역할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One of the important branding strategies used by famous companies today is space branding, which provides high-quality brand experiences to customers. It is a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utilizing brick-and-mortar space so that customers can directly experience the brand through the five senses. When designing for space branding, a designer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cognitive behavior of consumers so that brand messages are delivered to customers as intended by the company. Human thoughts and judgments are not always rational or accurate and this paper studies such "cognitive biases." However, a consumer's cognitive bias is not necessarily disadvantageous for companies. While some of them should be prevented, others can be used to induce positive thinking about the brand. This paper researches on this topic. Furthermore, by analyzing IKEA's store design, the design applicability of these theories are also studied. Long before the concept of space branding appeared, IKEA has been practicing it through mega-sized stores, high-quality showrooms, and a store-as-a-cultural-complex for the whole family. (Method) The analysis of cognitive biases applicable to space branding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and the design applicability of these theories was studied with a qualitative case analysis of IKEA stores. (Results) A total of 17 theories regarding cognitive biases were analyzed. First, there are theories for "reinforcing positive value perception." Companies strive to ensure that their brands are perceived in a positive way by consumers. For this, design elements should be configured to promote positive thinking and judgment on the brand information: that is, they should induce customers to judge the value of the brand somewhat exaggeratedly. Nine theories related to this were analyzed. Second, there are theories for "reinforcing symbolic awareness." Sometimes, the company wants its information to be easily associated with a specific image or symbol. Five theories that can make this symbolism easier were analyzed. Third, there are theories for "reinforcing utility awareness." Companies want to maximize the consumer's awareness of the utility of their products or services. For this, three theories were analyzed. This paper also confirmed that the 17 theories analyzed can be applied to actual space branding design by studying IKEA's store design.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IKEA carefully reflects various cognitive biases of customers in its store design so that the brand messages are understood and remembered by customers as intended by IKEA. Today, not only IKEA but also other famous brands are actively implementing space branding. For those spaces, "designi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consumers" is of utmost importance, so it will be a crucial role for designers to carefully reflect cognitive theories as studied in this pap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