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한식뷔페 표현특성 - 서울시에 위치한 한식뷔페를 중심으로 -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Buffet applied Space Branding - Focusing on the Korean Buffet in Seoul City -)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17.06
10P 미리보기
스페이스 브랜딩을 적용한 한식뷔페 표현특성 - 서울시에 위치한 한식뷔페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6권 / 3호 / 91 ~ 100페이지
    · 저자명 : 정영현

    초록

    우리나라 외식산업은 197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시작되었다. 그 전에는 외식산업 이라기보다는 식당, 요식업 등 단순히 먹고 파는 공간이었다고 본다면 1980년대 초부터 빠른 경제성장을 이룩하면서 인적 서비스와 내부 가치창출 등 과 같은 무형적인 요소들이 중요한 시대로 접어들면서부터 "외식산업"이란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2013년대부터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건강한 먹거리인 한식뷔페가 속속 등장하며 시장의 규모가 급속도로 커져가고 있다. 인기몰이 중인 한식 뷔페에서는 내부로 들어갔을 때 느껴지는 분위기가 각 브랜드들마다 전혀 다르다. 최근 기업들이 스페이스브랜딩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데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이렇게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한식뷔페에는 어떤 스페이스브랜딩을 적용했는지를 사례분석을 통해서 파악하고 앞으로 효과적인 매출증대를 위한 스페이스브랜딩의 적용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식뷔페 스페이스브랜딩의 공간구성을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 및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기본적으로 한식뷔페의 개념 및 공간구성을 조사하고 스페이스 브랜딩의 개념을 분석한 후에 스페이스 브랜딩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스페이스 브랜딩의 구성요소를 재구성하여 각 브랜드 공간에 적용시켜 보았다. 또한 스페이스 브랜딩이 적용된 한식뷔페 공간구성을 직접 경험하고 육안 조사를 통해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구체적으로 접근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서울시에 위치한 한식뷔페 중에서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인지도 평가 1위부터 4위까지 브랜드 중에 각 브랜드마다 매출이 가장 높은 매장 4곳을 선정하여 체크리스트로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최근까지, 마케팅에 의한 상업공간에 관한 연구들은 진행되어 왔으나 그 세부적인 스페이스브랜딩의 구성요소를 분석한 연구는 다소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식뷔페에 스페이스브랜딩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매출증대와 더불어 효율적인 스페이스브랜딩을 적용한 한식뷔페 공간구성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로써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rapid growth of Korean-style buffet in recent years has increased the size of corporate investment. Under this circumstance, businesses make various marketing efforts while highlighting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ir brand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which space branding has been applied to the Korean-style buffet through case studies and to propose a method of application of space branding to increase sales in an effective manner in the future. First, the research is theoretical examination and case studies with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s of Korean-style buffet space branding. Basically, upon completion of examining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s of the Korean-style buffet and analyzing the concept of space branding, the components of space branding have been reconstructed based on preceding studies on space branding and then have been applied to each brand space. Also, the hands-on experi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the Korean-style buffet with space branding incorporated in it and prepared a checklist via visual inspections. And then, the field surveys based on these examinations and took approach of drawing a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analysis conducted by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hrough preceding studies, the three components of space branding, that is, sensory element, emotional element, and cognitive element have been reconstructed before proceeding with this study, which has obtained five major findings as a conclusion. First, the sensory element should be given elements differentiated enough to attract consumers' attention along with a sustainable effort to have brand image imprinted in their mind. Second, in terms of emotional element,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brand experience oriented toward interest and participation results in higher utility frequency. Third,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cognitive element should seek consistency in communicating with consumers with focus on face-to-face contact on the display in space. Fourth, it has been found that arranging independent spaces is necessary to attract consumers' participation. Finally, the study has identified in which location area of buffet the sensory, emotional, and cognitive elements have placed a significant we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