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성디자인을 적용한 플레이스 브랜딩 프로세스 융합 연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vergence of place branding process applying emotional design -Focusing on my work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6 최종저작일 2021.09
10P 미리보기
감성디자인을 적용한 플레이스 브랜딩 프로세스 융합 연구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39권 / 4호 / 285 ~ 294페이지
    · 저자명 : 유양욱, 이선정

    초록

    본 연구는 작품 논문으로 인지과학자 도널드 A. 노먼(Donald A. Norman)에 의해 고안된 ‘감성디자인’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성디자인을 기존의 플레이스 브랜딩과 융합 적용한 본인의 플레이스 브랜딩 디자인 작품인 “Celeb de Salad”의 프로세스를 정리하고작품의 컨셉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근거를 밝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행하였다.
    첫째, 서론에서 연구의 배경 및 범위에 관해 기술하였다. 소비의 패러다임이 유통자 중심의 상품 소비에서 콘텐츠 중심의 경험 소비로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는 더 이상 필요한 것을 소비하는 것이 아닌, 원하는것을 소비한다. 소비자는 경험을 소비하기 위해 백화점이나 대형 쇼핑몰이 아닌, 각각의 콘텐츠를 가지고있는 장소로 향하고, 그 특정적 장소에서 콘텐츠를 경험하고 소비한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로 감성에관한 관심이 높아졌고, 감성디자인의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소비 트렌드를 파악하여 감성디자인의 개념을 플레이스 브랜딩에 융합시켜, 적용한플레이스의 사용자를 특정하고, 그 사용자의 감성에초점을 맞추어 브랜딩을 하였다.작품의 범위는 감성디자인에 의한 플레이스 브랜딩프로세스를 적용한 본인의 작품 “Celeb de Salad”를범위로 하였다.
    둘째, 작품의 컨셉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첫 번째로 사용자의 주관적 감성을 불러일으켜 객관적 성능보다 선호도와 사용성을 높이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인지과학자 도널드 A. 노먼의 이론인 ‘감성디자인’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두 번째로 지역의 핵심가치를 선정하여 구체화하고 시각화시켜 브랜딩하는 ‘플레이스 브랜딩’ 개념을 설명하였다.
    셋째, 앞에서 설명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감성디자인에 의한 본 연구자의 독자적인 플레이스 브랜딩프로세스’를 설명하고, 본인의 작품 “Celeb de Salad” 를 프로세스에 의해 전개하여 설명하였다. 플레이스브랜딩에 감성디자인의 개념을 융합시킨 “Celeb de Salad”를 통해 플레이스의 소비자가 원하는 브랜딩 공간에 관한 가치를 보다 감성적으로 제공할 수 있었다.
    감성디자인을 적용한 플레이스 브랜딩을 통해 소비자가 기대하는 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소비자 스스로가 브랜딩 콘텐츠를 생산하여 플레이스와 브랜드의가치를 높이고 소비자와 브랜드, 소비자와 소비자, 플레이스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효과를 발생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것에도 본 작품 논문의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was initiated from 'Emotional Design', which was devised by cognitive scientist Donald A. Norman as a work 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process of “Celeb de Salad”, which is a place branding design work of my own, in which emotional design is applied by fusion with existing place branding, and to reveal the theoretical basis that supports the concept of the work. Therefore, this thesis proceeded as follows.
    The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troduction, the background and scope of the study were described. The paradigm of consumption is changing from consumer-centered product consumption to content-centered experiential consumption. Consumers don't consume what they need anymore, they consume what they want. In order to consume the experience, consumers head to a place that has each content, not a department store or a large shopping mall, and experience and consume the content in that specific place. With such a paradigm shift, interest in emotion increased, and the need for emotional design increased. By grasping the above consumption trends, the concept of emotional design is fused with place branding, specifying the user of the applied place, and branding with focus on the user's sensitivity. The scope of the work was my work “Celeb de Salad”, which applied the place branding process by emotional design. Secon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conducted to support the concept of the work.
    First, the theory of “Emotional Design” by Donald A. Norman, a cognitive scientist who focuses on increasing preference and usability rather than objective performance by invoking the user's subjective sensibility, was described. Secondly, the concept of “place branding,” which selects, specifies, and visualizes the core values of the region for branding was explained. Thir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theoretical evidence, the researcher's independent place branding process by emotional design was described, and his work "Celeb de Salad" was developed by the process. "Celeb de Salad," which combines the concept of emotional design with place branding, has been able to provide more emotional value to the branding space desired by consumers of the place. This paper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ha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consumers to increase the value of places and brands and connect consumers with places by producing branding cont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9 오후